
우리나라 40세 이상 성인 10명 중 4명은 고령이나 질병이 닥쳤을 때 요양보호사에 의존하겠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배우자가 돌봐줄 것이라는 사람도 10명 중 3∼4명에 달했고, 자녀에 의존하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거의 없었습니다.
재단법인 돌봄과미래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40세 이상 남녀 1천명을 상대로 지난달 25∼30일 실시해 오늘(21일) 공개한 '지역사회 돌봄 인식과 수요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39%는 '요양보호사가 돌볼 것'이라고 답했습니다.
이어 '배우자가 돌볼 것'(35%), '스스로 나를 돌봐야 한다'(21%)고 응답했습니다.
'자녀가 돌봐줄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4%에 그쳤습니다.
배우자의 돌봄 여부 예상치는 성별 간 차이가 있었습니다.
남성의 49%는 '내가 아프면 아내가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했지만, 여성은 22%만이 '내가 아프면 남편이 나를 돌볼 것'이라고 답해 격차가 두 배가 넘었습니다.
전체 응답자 과반인 58%(기혼자 52%·미혼 87%)는 '고독사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고 10%는 '매우 높다'고 말했습니다.
'자주 교류하는 이웃이 있다'고 답한 비율은 20%였고, 39%는 '이웃과 가끔 인사만 나눈다', 27%는 '특별한 교류는 없고 얼굴은 안다'고 답했습니다.
응답자의 40%는 '긴급 상황 시 가족 외 도움을 요청할 사람이 없다'고 했습니다.
노인돌봄 정책 중 최우선 과제로 꼽은 것은 '자부담 경감'(42%)이었습니다.
노인돌봄 서비스의 책임 주체는 '국가'라고 한 비율이 85%로 대다수였고, 노인돌봄 정책의 중요 가치로도 공공성(51%)이 가장 많이 나왔습니다.
노인돌봄을 위해 세금 지출을 늘리자는 데에는 85%가 찬성했습니다.
한편 응답자의 41%는 '거주지역 내 병원 이용 시 불편을 경험했다'고 답했습니다.
노년기 돌봄을 위한 거주지 개선 사항으로도 '병원'이라는 응답 비율(36%)이 가장 높았습니다.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는다'는 답은 전체의 93%로 대다수였고, 임종에 대한 결정은 '스스로', '가족과 상의하겠다'는 비율이 각각 44%로 동일했습니다.
#요양보호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