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르신을 제외한 전체 연령대에서 최근 자살률이 다시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25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19세 이하 아동·청소년의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010년 3.0명에서 2017년 2.6명으로 줄었다가 2023년 4.6명으로 다시 늘었습니다.
이런 추세는 다른 연령대에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중장년층(40∼64세) 인구 10만명당 자살률은 2010년 37.9명에서 2017년 29.4명으로 하락했다가 2023년에 32명으로 상승했습니다.
청년층(20∼39세)의 자살률도 같은 기간에 27.2명, 20.6명, 24.4명 등으로 하락 후 상승으로 전환했습니다.
이 기간 65세 이상 노인층에서만 80.9명, 47.7명, 40.6명으로 10만명당 자살사망자가 줄었습니다.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자살사망자는 1만4천439명(잠정), 자살률은 인구 10만명 당 28.3명이었습니다.
불명예스럽게도 2003년부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올해 하반기에 40명 규모의 상담사를 배치한 자살예방상담전화(☎109) 콜센터를 추가 개소하는 등 적극적으로 자살 상담에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오늘(25일) 109 콜센터 추가 개소 준비 상황과 심리 부검 체계를 점검하는 한편, 간담회를 열고 자살 예방 전문가들의 의견을 들었습니다.
정 장관은 "자살은 우리 사회 전체가 함께 풀어야 할 과제"라며 "한 사람의 생명도 끝까지 지키는 것이 국가의 책임이라는 각오로 실효적인 자살 예방 대책을 수립하겠다"고 말했습니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ㆍ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예방 상담전화 ☎ 109 또는 자살예방 SNS상담 '마들랜'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욱(DK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