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조업과 수출이 이끄는 경제 구조 탓에 미국 상호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전방위적 산업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27.6%로 집계됐습니다.
OECD 회원국 평균(15.8%)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한국 제조업의 GDP 비중은 2015년 30.2%에서 2019∼2022년 28%대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 이보다 소폭 낮아졌습니다.
그럼에도 전통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과 일본(20.7%)을 앞질렀으며, 아일랜드(31.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우리나라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2015년 59.8%에서 2023년 63.0%로 확대됐습니다.
예정처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서비스업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인데 한국은 서비스업 성장과 동시에 제조업 비중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은 경제 규모를 고려할 여전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로 평가된다"고 밝혔습니다.
한국은 제조업을 기반으로 한 수출 비중도 높은 편입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44.4%입니다.
OECD 평균(30.0%)보다 14%포인트(p) 이상 높으며 주요 7개국(G7)보다 높습니다.
G7 가운데 독일이 41.8%로 가장 높았고 이어 프랑스(33.9%), 이탈리아(32.7%), 캐나다(32.4%), 영국(30.6%) 순이다. 일본은 22.8%, 미국은 10.9%로 나타났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가운데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 비중인 대미수출 의존도는 지난해 18.8%로, G7과 비교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입니다.
이에 따라 제조업 비중 대미수출 의존도를 고려할 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경제 충격도 불가피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제조업 #OECD #관세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