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 부부를 중심으로 결혼 비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지역에 따라 결혼서비스 비용의 격차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전국 14개 지역의 결혼서비스 업체 515곳을 대상으로 결혼식장과 '스드메(스튜디오·드레스·메이크업)' 패키지 비용을 합산한 6월 결혼서비스 비용을 조사한 결과 평균 2,074만원으로 지난 조사에 비해 소폭 하락했습니다.
다만, 결혼서비스 전체비용의 지역 간 차이는 최대 3배 가까이 나는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 강남'이 3,33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서울(강남 외)', '경기도' 등 지역이 뒤를 이었습니다.
14개 지역 중 전체비용이 가장 낮은 지역은 '경상도'로 1,153만원이었습니다.
대관료, 식대, 기본 장식비 등을 포함한 결혼식장 중간 가격은 1,560만원이었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 강남'이 2,89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부산'이 775만원으로 가장 낮았습니다.
결혼식장 비용의 73%를 차지하는 식대 가격 분석 결과, 1인당 식대 가격의 중간 가격은 5만 8천원이었습니다.
'서울 강남'이 8만3천원으로 가장 비쌌고 '서울(강남 외) 7만 2천원, '경기도' 6만 2천원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스튜디오, 드레스, 메이크업 상품을 하나로 묶은 이른바 '스드메' 패키지의 경우 '광주'가 346만원으로 제일 높았고 '인천'이 222만원으로 가장 저렴했습니다.
'스드메' 중간 가격은 292만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아울러 선택품목(옵션)이 부담을 가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원 조사 결과, 결혼식장 옵션 중에는 ‘본식 촬영비’(71.7%)가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었고 중간 가격은 80만원이었습니다.
결혼식장 기본 장식에서 ‘생화’로 변경하려면 200만 원의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했습니다.
또 '앨범 페이지 추가', '본식 헬퍼' 등 옵션들도 비용을 유발했습니다.
#한국소비자원 #웨딩 #스드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준하(jju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