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러스가 오늘(29일) 서울 용산구 사옥에서 보안 전략 간담회를 열어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에 진심인 통신사가 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범죄 근절을 위한 민관 협동 정보보안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홍관희 LG유플러스 정보보안센터장(전무)은 '거버넌스-예방-대응' 3단계 보안 체계 강화와 2027년까지 자사 특화 제로트러스트(모든 접근을 신뢰하지 않고 항상 검증하는 보안 모델) 완성 등을 목표로 제시했습니다.
LG유플러스의 보안 거버넌스는 독립적 위치의 사내 보안 전담 조직인 정보보안센터가 전사 정보보호를 총괄하는 것이 특징으로, 최고보안책임자(CISO)이기도 한 홍 센터장이 경영위원으로서 보안을 포함한 사내 주요 의사 결정 과정에 참여합니다.
LG유플러스는 지난해 정보보호 분야에 약 828억원을 투자했고 올해 30% 이상 투자를 확대하는 등 향후 5년 동안 약 7천억원의 투자를 단행할 예정입니다.
LG유플러스는 국내 통신사 중 유일하게 범죄 조직이 운영하는 악성 앱 서버를 직접 추적하고 있습니다.
지난 2분기 경찰에 접수된 전체 보이스피싱 사건 중 약 23%는 LG유플러스에서 악성 앱 서버를 추적해 경찰에 전달했습니다.
홍관희 센터장은 "악성 앱이 설치되면 전화를 어디로 걸든 범죄 조직이 가로채게 되고, 스마트폰 카메라·마이크 등을 통해 실시간 도·감청이 가능해져 피해자는 보이스피싱에 취약해지고 심리적으로도 위축된다"고 말했습니다.
홍 센터장은 "통신사, 경찰, 금융회사 등이 각각 가진 전문성을 모아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정부 차원의 보이스피싱 근절책이 나오길 바라며 요즘 인공지능(AI)을 많이 활용하는데 법적 제약의 완화도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LGU #정보보안 #보이스피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