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 N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주택공급 지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올해 상반기 인허가와 착공·분양·준공이 일제히 감소한 것입니다.

특히 수도권 주택 착공과 분양 물량이 줄어 이미 공급 부족이 현실화한 내년은 물론 2∼3년 뒤 입주 물량도 늘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됩니다.

오늘(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3만8,456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7.6% 줄었습니다.

지방 부동산시장의 침체가 상반기 인허가 물량을 끌어내렸습니다.

수도권 인허가(7만3,959가구)가 22.7% 늘었지만, 지방(6만4,497가구)은 28.0% 줄었습니다.

착공과 분양은 지방은 물론 수도권에서도 줄었습니다.

상반기 주택 착공은 10만3,147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8.9%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착공(6만5,631가구)이 8.1%, 지방(3만7,516가구)은 32.8% 줄었습니다.

다만 6월 한 달 간 수도권 착공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152.1% 급증했습니다.

상반기 분양 주택은 6만7,96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9.6%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분양이 18.4%, 지방은 56.7% 줄었습니다.

상반기 서울에서 분양된 주택은 작년보다 20.3% 감소한 6,558가구에 불과했습니다.

통상 주택 인허가를 받으면 3∼5년, 착공하면 2∼3년 후 입주를 시작합니다.

2∼3년 후 수도권 입주 물량이 줄고, 이로 인해 집값이 불안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해소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상반기 준공은 20만5,611가구로 6.4% 감소했습니다.

수도권 준공이 10만1,044가구로 9.2% 늘었지만, 지방이 10만4,567가구로 17.7% 감소한 여파입니다.

서울 아파트 준공은 올해 상반기 2만9,420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102.9% 증가했습니다.

한편 악성 미분양 주택은 2022년 7월 이후 23개월 만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6,716가구로 전월보다 1.1%(297가구) 줄었습니다.

#건설 #집값 #수도권 #아파트값 #부동산 #분양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