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쏘임 안전수칙[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질병관리청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야외 활동이 많은 여름과 초가을에는 벌쏘임·뱀물림 사고도 늘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질병관리청은 오늘(31일)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23개 참여 병원의 응급실 손상환자 심층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벌쏘임 사고(3,664건)의 70.5%, 뱀물림 사고(726건)의 57.0%가 7∼9월에 발생했다고 밝혔습니다.

벌쏘임 사고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중 88명이 입원했고, 13명은 숨진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벌쏘임은 일상생활(37.2%), 여가 활동(24.3%) 중에 주로 발생했고, 이어 업무 중(20.0%) 순이었습니다.

벌초·제초 등 업무 중이 아닐 때도 사고가 빈번했던 셈입니다.

특히 30대 이하는 휴식, 누워 있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과 등산과 같은 여가 활동 중 벌에 쏘인 비율이 높았다고 질병청은 설명했습니다.

벌쏘임 사고는 특히 정오부터 오후 6시 사이, 주말에 많이 발생했습니다.

성별로는 남자(64.4%)가 여자보다 많았고 연령은 60대(25.8%), 50대(22.1%)가 많았습니다.

발생 장소는 야외·강·바다(37.5%), 도로(18.8%), 집(16.1%), 농장·1차 산업장(9.6%) 등이었습니다.

뱀물림 사고는 주말(40.8%)에 많이 발생했고, 연령별로는 60대(28.9%)와 70대 이상(24.0%), 50대(19.6%)가 전체 환자의 72.5%를 차지했습니다.

제초·농작물 수확 등 업무 중에 사고가 난 경우가 27.3%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일상생활(24.2%), 창고 정리·분리수거 등 무보수 업무(22.9%) 순이었습니다.

뱀물림으로 응급실을 찾은 환자 726명 중 433명이 입원했고, 5명은 숨졌습니다.

벌에 쏘였을 때는 신용카드 등으로 벌침을 밀어내 제거하고, 통증이 지속되거나 과민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해야 합니다.

뱀을 발견했을 때는 즉시 대비 후 119에 신고해야 하고, 만약 뱀에게 물렸다면 물린 부위가 심장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하고 움직임을 자제해야 합니다.

질병청은 상처에 약초를 으깨어 바르거나 칼로 상처를 내어 짜내거나 입으로 독을 빨아내는 행동, 술이나 카페인을 마시는 행동은 상황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벌쏘임 #뱀물림 #응급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