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수련협의체 회의[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2월 병원을 떠난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의 복귀를 위한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정부가 내주까지 구체적인 자격 요건 등에 대한 합의를 마치겠다는 계획을 내놨습니다.

하반기 수련 개시 시점인 9월이 얼마 남지 않은 만큼 다음 주 중에는 협의를 끝내고 신속하게 전공의 모집 공고를 낼 방침입니다.

보건복지부는 오늘(31일) 오전 서울 중구 달개비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등과 함께 제2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열고 전공의 수련환경 개선과 이들의 복귀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수련협의체는 집단 사직한 전공의들이 의료 현장에 돌아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고자 지난 25일 출범한 정부와 의료계 협의체입니다.

앞서 대전협 비대위는 윤석열 정부의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3가지 요구안을 밝힌 바 있습니다.

공식적으로 복귀를 위한 '특례'를 요구하진 않았지만, 전공의들 사이에는 수련의 연속성을 위해 미필 전공의들의 입영 연기나 전역 후 기존 수련병원 복귀 보장 등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복지부는 이날 하반기 전공의 모집 지원 자격 등을 포함해 대전협에서 요구하고 있는 수련 연속성 보장 방안을 논의했으나, 구체적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전공의 수련 기간 단축이나 추가 전문의 시험 실시 등은 논의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하반기 전공의 모집에서 레지던트 1년 차 필기시험을 내달 16일에 치르는 데에는 정부와 의료계 모두 합의했습니다.

아직 하반기 전공의 모집 공고 전이지만, 시험 준비에 여유를 주고자 내달 4일부터 응시 신청을 받습니다.

응시 대상은 인턴 수료자 또는 수료 예정자입니다.

레지던트 1년차 모집에 지원한 적이 없거나 과거 불합격한 경우, 지난해 사직자 중 수련병원이나 과목을 변경하려는 경우가 응시 대상입니다.

이와 함께 지난해 2월 19∼20일 사직한 전공의들에게 발생한 약 열흘간의 수련 공백은 인정해주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김국일 보건의료정책관은 "(2월 중순 사직으로 그달 말까지 발생한) 열흘 정도 비는 기간에 대해서는 하반기에 복귀할 경우 어느 정도 감안해줄 예정"이라며 "충분히 수련받았다고 인정할 수 있다는 게 참석자 대부분의 의견이어서 그 정도는 인정하기로 했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좀 더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김 정책관은 "수련의 연속성 측면에서 여러 의견을 주셨고, 저희는 국민 눈높이에서 검토해보겠다는 입장"이라며 "어떤 결론에는 이르지 못해 협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복지부는 내달 7일에 제3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열고 전공의들의 복귀를 위한 자격 요건 등에 대한 논의를 마무리 지을 예정입니다.

김 정책관은 "일정상 다음 주에는 어떤 식으로든지 결론을 내야 한다"며 "하반기 모집 공고는 3차 수련협의체 회의를 마친 후 그 주말이나, 그 다음주 초로 계획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직전공의 #수련협의체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