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판문점에서 만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AP=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AP=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


10월 말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 정상외교가 재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가 밝혔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현지시간 26일 미국 뉴욕에서 한국 특파원들과 만나 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 간 대화가 재개될지에 대해 "지금으로선 단정적으로 말하기 곤란하지만, 그럴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북미 정상 간의 대화는) 할 수 있는 일이고 또 그렇게 되기를 바라면서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집권 1기때인 지난 2019년 6월 일본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마치고 예정 없이 한국을 방문해 전격적으로 판문점에서 김 위원장을 만났는데, 유사한 형태로 판문점 북미대화가 열릴 가능성을 염두에 둔 언급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김 위원장은 21일 최고인민회의 제14기 제13차 회의에서 "개인적으로는 현 미국 대통령 트럼프에 대한 좋은 추억을 가지고 있다"며 "만약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 데 기초하여 우리와의 진정한 평화 공존을 바란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고 북한 관영매체들이 보도했습니다.

또, 북한이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를 계기로 7년 만에 고위급 대표단을 파견한 것에 대해서는 "북한이 일단 다자외교 무대로 나오는 것은 좋은 일이라 생각한다"며 "북미 간 이를 계기로 접촉이 있을지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아울러 이 관계자는 조지아주에서 있었던 한국인 구금 사태 이후 미국 정부와의 비자 문제 협의에 대해 "기업 투자 시 별도의 비자 카테고리를 신설해 편리하고 안전하게 체류 자격을 확보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궁극적으로 미 의회에서 관련 법안을 통과시키는 일도 포함할 수 있다"며 "어떻게 하는 게 빠르고 현실적인지 워킹크룹을 통해 미 측과 교류해 나갈 예정"이라고 했습니다.

한편, 이 관계자는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이재명 대통령 주변에 이른바 '동맹파'가 너무 많다며 외교·안보 라인의 인적 개혁을 주장한 것에 관해 "우리 정부 안이 동맹파와 자주파로 나뉘어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과 다르다"며 "이 대통령 뜻도 그렇고 국가안전보장회의(NSC) 회의 참석자들 모두 실용외교를 추구하는 '실용파'"라고 강조했습니다.

한미원자력협정 개정 추진과 관련해서는 "(우라늄)농축과 (사용후 핵연료) 재처리를 하게 되면 그것은 어디까지나 산업적 측면"이라며 "잠재적 핵보유국이 되려고 하는 것은 전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국내 일각에서 거론되는 독자 핵무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당연히 우리 정부는 핵무장에 아무런 계획이 없다"며 "다음 정부도 그런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한다고 믿는다"고 일축했습니다.

#북미관계 #북미대화 #경주APEC #실용외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