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현 외교부 장관이 외신 인터뷰를 통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북 관여를 강력히 촉구했습니다.
조 장관은 현지시간 26일 미국 뉴욕 주유엔 한국 대표부에서 AP 통신과 인터뷰를 갖고 이재명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평화 협상의 주도적인 역할을 맡아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한국이 대북 문제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해도 개의치 않는다며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이 리더십을 발휘해 북한을 대화 테이블로 끌어내기를 원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조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 대통령의 요청을) 환영했으며, 북한과 다시 대화에 나설 의향을 밝혔다"고 소개한 뒤 "그들(트럼프와 김정은)이 가까운 미래에 만난다면 환상적일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습니다.
아울러 조 장관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계가 "훨씬 더 불안정해졌다"며 "이에 따라 한반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군사적 충돌에 대해 똑같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군사적 긴장을 줄이기 위해 북한과의 대화를 모색할 수밖에 없다"며 "최소한 핫라인이라도 구축하기를 원한다"고 말했습니다.
한반도의 비핵화는 "필수적이며, 우리는 이를 포기할 수 없다"는 원칙도 거듭 확인했습니다.
한편, 26일 새벽 북한 상선이 서해 북방한계선(NLL)을 침범해 우리 군이 경고사격을 한 사건에 대해서는 "전혀 놀랍지 않다"고 했습니다.
조 장관은 "이번 일이야말로 우리가 군 당국 간 핫라인을 만들고, 군사적 긴장을 줄이고, 서로 간의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는 새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고 했습니다.
특히 조 장관은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매우 건설적인 좋은 만남"을 가졌지만, 중국이 서해에 설치한 "무언가"가 한국의 주권을 침해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이어 "그것이 제거돼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적절한 조처를 하는 것을 고려할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표명했습니다.
조 장관은 미국 조지아주에서 발생한 한국인 구금 사태 당시 워싱턴을 방문해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의 회담을 통해 오랜 현안이었던 비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희망적인 결과(silver lining)"를 얻었다고 덧붙였습니다.
#대북관여 #비핵화 #한중관계 #이민단속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