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온의 미국 법인 SK배터리아메리카(SKBA)[SK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SK온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지난 4일 미국 조지아주의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대규모 구금 사태가 발생한 지 한 달 가까이 지나면서, 업계가 조심스럽게 사업 정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오늘(28일) 업계에 따르면 SK온은 최근 조지아주 커머스에 위치한 SK배터리아메리카(SKBA), 켄터키주에 있는 포드와의 합작 공장 블루오벌SK(BOSK) 등 이미 가동 중인 생산 시설에 단기 상용 B-1 비자 소지 인력들을 복귀시켰습니다.

또 테네시주에 추가로 짓고 있는 BOSK 공장에도 B-1 소지자들을 근무하도록 하는 등 건설 현장에도 한국 인력들을 재투입했습니다.

사태가 발생한 조지아주에 있는 현대차 합작 공장 건설 현장을 제외하면 모든 대기 조치를 해제한 겁니다.

SK온은 최근 B-1 비자로 미국에 파견된 모든 인력에 숙소 대기를 지시했으나, 이제는 본격적으로 사업 정상화를 모색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일단 구금됐던 근로자들에 대한 건강 검진과 심리 상담 프로그램 등을 지원하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근로자들의 전원 귀국 후 막바지 공정이 지연되고 있는 조지아주 공장 건설도 속도를 내지 않고 있는데, 한미 협의를 통해 비자 절차 개선이 이뤄질 경우 지연된 일정을 만회할 수 있도록 대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만 업계에서는 미국 측이 비자 제도를 조기에 개선하지 않을 경우 경영 불확실성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옵니다.

최근 한미 관세협상이 타결된 후에도 3,500억달러 대미 투자 패키지의 세부 내용 등을 두고 후속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는 것도 우려되는 지점입니다.

김민석 국무총리는 앞서 외신 인터뷰에서 국내 기업들의 대미 투자 프로젝트에 대해 "비자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의미 있는 진전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배터리업계 #미국 #사업 #정상화 #시동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