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이 다음 달 1일 국무총리 직속의 국가데이터처로 승격하며 인공지능(AI) 시대의 데이터 컨트롤타워로 거듭납니다.
각종 공공·민간데이터 활용성을 높이고, AI 친화적 '메타데이터'를 구축하는 등 '데이터 거버넌스'의 새 판을 짜겠다는 구상입니다.
정부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통계청은 국가데이터처로 공식 출범합니다.
국가데이터처는 1990년 이래 경제부처 산하 외청(外廳)이었던 통계청을 35년 만에 '데이터 총괄 관리' 기능을 강화한 독립된 기구로 확대 개편한 것이 핵심입니다.
현재는 공공데이터의 경우 행정안전부와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민간데이터의 경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이 각각 데이터의 공개·활용 확대, 개인정보보호, 산업화 등의 목적으로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현행 체계에서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공공데이터 개발지수 1위를 기록하고, 비공개 데이터를 연계한 생활인구, 소득이동통계 등을 개발하는 일부 성과가 있었지만, AI 기반의 데이터 활용에 있어서는 구조적 한계가 드러나고 있습니다.
공공데이터의 경우 AI가 통계 데이터에 접근하지 못해 활용성이 떨어지고, 민간 데이터는 품질 문제로 AI 활용에 제약이 있다는 문제점이 제기돼왔습니다.
국가데이터처는 데이터 활용에 주도권을 갖고 AI시대에 걸맞은 고품질 데이터 생산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그동안 부처별 칸막이와 개인정보보호 문제로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어 왔는데, 이를 진두지휘할 권한을 국가데이터처가 갖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데이터 간 연계·활용이 활발해지면 국가 경제와 사회 전반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물론, 새로운 국가 통계 개발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
국가데이터처는 이를 위해 AI가 통계 데이터를 해석·추론할 수 있도록 하는 AI 친화적 통계 메타데이터 구축에 나섭니다.
국가데이터처는 AI 활용이 가능하도록 구조화·표준화된 통계 메타데이터 구축이 필수라고 보고, 표준화된 메타데이터 시스템을 만들어 이를 범정부 표준으로 확산할 계획입니다.
또 AI가 믿고 쓸 수 있도록 민간데이터의 신뢰성과 품질을 검증하는 제도 도입도 추진합니다.
국가데이터처의 출범에 따라 국가 통계·데이터의 허브 기능 강화로 효율성이 높아지고 보안·안전성도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만 국가 통계의 생산·관리 권한은 각 부처에 분산된 만큼, 당장 국가데이터처의 역할은 여전히 데이터의 연계·활용에 국한될 수밖에 없을 거라는 관측이 제기됩니다.
#통계청 #국가데이터처 #인공지능 #메타데이터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