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억원 금융위원장·이찬진 금융감독원장 첫 회동[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제공][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제공]


금융당국이 조직 해체와 분리 위기를 피했지만 아직 불씨가 남아있는 만큼 당분간 '소비자 보호' 관련 성과를 내는 데 주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금융권과 정치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금융정책 기능을 유지한 채 서울에 머물고, 금융감독원도 금융소비자보호원(금소원)을 분리하지 않습니다.

금융위는 현 정부가 강조하는 '생산적 금융'의 주도권을 쥐게 됐습니다.

집값을 잡기 위한 가계 부채 대책, 석유·화학 구조조정 등에서도 역할론이 더욱 부각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금융위는 정부 조직개편 논의가 재개될 가능성이 있어 안심하기 이르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금감원 역시 공공기관 지정 이슈는 아직 살아있다는 분석입니다.

금융당국은 조직 해체·분리 위기에 단초가 된 '금융소비자 보호'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금융위는 불법 금융·민생범죄 대응 조직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 등을 살피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디지털 보안, 불법 금융감독 등을 강조할 것으로 보입니다.

당초 신설 예정이던 금융감독위원회가 금융소비자보호국을 두고 이런 분야에 힘을 싣는 방안이 거론된 바 있습니다.

또 이 대통령이 "주가조작 패가망신"을 외치며 불공정 거래 척결을 내세운 만큼, 금융위 내 자본시장 불공정거래 감독 역량도 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감원도 조만간 조직 쇄신과 관련한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찬진 금감원장은 모든 부서가 금융 소비자 보호에 적극 힘써야 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금감원 비상대책위원회도 내부 메시지를 통해 '사전예방적 소비자 보호 태스크포스(TF)'를 신속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사들은 금융당국이 소비자 보호와 관련해 얼마나 고삐를 죌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소비자보호 #금융위 #금감원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곽준영(kwak_k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