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미국이 일본에 이어 유럽연합(EU)과도 자동차 관세를 15%로 낮추는 것을 확정하면서 미국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일본, 유럽 브랜드와 맞서던 현대차그룹 등 한국 자동차 업계에는 타격이 불가피하게 됐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미국 정부는 현지시간 지난 24일, 유럽산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율을 27.5%에서 15%로 내리는 조정을 확정했습니다.

일본산 자동차 관세는 지난 16일부터 역시 15%로 낮췄으나 한국은 관세 협상 후속 협의에 난항을 겪으면서 25% 관세를 계속 적용받고 있습니다.

한국 자동차 업계는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픽업트럭 외의 모든 차량을 무관세로 미국에 수출해 왔고, 일본과 유럽 업체들은 기본 관세인 2.5%를 물어 왔으나 상황이 역전된 것입니다.

낮은 관세에 기반해 동급의 일본·유럽차보다 저렴한 가격대를 유지했던 한국 자동차가 더 비싸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현대차의 미국 베스트셀링 모델인 투싼은 최소 판매가가 2만 9,200달러(약 4,121만원)로, 경쟁 차종인 독일 폭스바겐 티구안(3만 245달러·4,268만원)과 일본 도요타 라브4(2만 9,800달러·4,205만원), 혼다 CR-V(3만 920달러·4,364만원)보다 1천달러 이상 가격이 낮습니다.

다만 현대차가 25% 관세를 가격에 반영할 경우 투싼은 3만 6,500달러로 뛸 수 있습니다.

15% 인상을 가정한 티구안(3만 4,782달러), 라브4(3만 4,270달러), CR-V(3만 5,558달러)보다 모두 비싸지며 소비자 선택이 옮겨갈 수 있습니다.

또 미국에서 가장 잘 팔리는 현대차그룹의 전기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아이오닉5는 기본 가격이 4만 2,600달러로 비슷한 급의 폭스바겐 ID.4(4만5,095달러)보다 낮은 가격대에 팔리고 있지만 관세 격차가 반영될 경우 5만 3,250달러, 5만 1,859달러로 가격 역전 현상이 발생합니다.

오는 30일부로 미국에서 최대 7,500달러 전기차 구매 세액공제가 종료되면 현대차그룹의 전기차 판매는 더욱 고전을 면치 못할 것으로 우려됩니다.

현대차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 역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을 앞세워 미국 내 프리미엄 브랜드 시장에서 독일 메르세데스-벤츠 등과 치열하게 경쟁해 왔지만 관세 차별로 타격은 불가피합니다.

제네시스 G80은 5만 8,450달러에 판매돼 벤츠 E350(6만 3,900달러), BMW 530i(5만 9,900달러), 아우디 A6(5만 8,100달러)보다 저렴하거나 비슷한 가격입니다.

다만 관세가 모두 반영되면 G80은 7만 3,062달러가 돼 E350(7만 3,485달러)과 수백달러만 차이 나게 되고, 530i(6만 8,885달러), A6(6만 6,815달러)보다 수천달러가 비싸집니다.

특히 제네시스는 GV70을 제외하면 미국 내 판매 모델을 한국에서 생산해 수출하는 만큼 관세를 피하기도 쉽지 않습니다.

유럽은 벤츠와 BMW, 아우디 등 프리미엄 브랜드가 대미 수출을 주도하고 있어 관세율 격차는 제네시스에 더욱 악재로 다가올 수 있습니다.

유럽은 지난해 기준 미국에 차량 75만 8천대를 수출해 한국(143만대), 일본(137만대)보다는 규모가 작지만, 수출 단가가 높은 모델을 많이 팔면서 수출액은 약 64조원으로 한국(48조원), 일본(56조원)보다 컸습니다.

#현대차그룹 #미국 #유럽 #한국 #일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곽준영(kwak_k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