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세가 가팔라지면서 경매 시장까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습니다.

오늘(28일) 법원경매정보회사 지지옥션에 따르면 지난 26일까지 진행된 9월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경매 진행건수 대비 낙찰건수)은 50.2%를 기록했습니다.

총 209건이 경매에 부쳐져 절반이 넘는 105건이 낙찰된 결과입니다.

서울 아파트 낙찰률이 50%를 넘은 것은 지난 2022년 6월(56.1%) 이후 3년 3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격 비율)도 강세입니다.

이번달 현재 낙찰가율은 평균 97.3%로 6·27 대출 규제 전인 지난 6월(98.5%) 이후 석 달 만에 가장 높습니다.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토지거래허가구역에 묶이지 않은 비규제지역인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광진·동작구 등 한강벨트를 중심으로 과열 양상이 뚜렷합니다.

특히 성동구의 아파트는 이달 경매로 나온 8건이 모두 낙찰되며 낙찰률이 100%에 달했습니다.

지난 15일 서울동부지방법원 경매1계에는 총 5건의 아파트가 경매에 부쳐진 결과 송파구 오금동의 위반건축물 1건을 제외하고 성동구의 아파트 4건이 모두 1회차 경매에서 감정가 이상 고가 낙찰됐습니다.

성동구 하왕십리동 텐즈힐 아파트 전용면적 60㎡는 감정가가 12억 3천만원인데 첫 경매에서 20명이 치열한 경쟁을 벌인 끝에 감정가의 125%인 15억 3,190만원에 주인을 찾았습니다.

이 아파트는 이달 매매 시장에서 16억 4,800만원에 팔렸고, 최근 호가가 18억 5천만원까지 치솟으면서 낙찰자가 감정가보다 3억원이나 비싼 값을 써낸 것입니다.

같은 날 서울 성동구 금호동4가 대우아파트 전용 115㎡는 4명이 경쟁해 감정가 17억 2,800만원의 111%인 19억 2천만원 선에 낙찰됐고, 같은 아파트 전용 85㎡는 감정가(13억 6천만원)의 104%인 14억 2,107만여원에 팔렸습니다.

역시 비제규지역인 동작구 상도동 상도효성해링턴플레이스 전용 84.8㎡는 지난 18일 2회차 경매에서 무려 39명이 경쟁해 감정가(11억 9천만원)이 113.8%인 13억 5,432만원에 낙찰했습니다.

지난 8일에는 광진구 자양동 성원아파트 전용 59㎡가 첫 경매에서 10명이 몰린 가운데 감정가(9억 5,200만원)의 112%인 10억 6,300만원에 주인을 찾았습니다.

지지옥션 집계 결과 용산구(106.7%)와 성동구(104.4%), 마포구(103.3%) 등 마용성 지역은 이달 들어 구별 평균 낙찰가율이 100%를 넘어섰습니다.

#경매 #한강벨트 #지지옥션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곽준영(kwak_k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