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금융위 제공][금융위 제공]


금융위원회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위기경보 '심각' 단계에 맞춰 합동 위기상황대응본부를 중앙사고수습본부로 격상했다고 오늘(28일) 밝혔습니다.

금융위는 이날 오후 권대영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감독원, 유관기관 및 각 업권 협회와 2차 긴급회의를 열고 금융권 대비 상황과 소비자 피해 최소화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

금융권은 이번 화재로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이 어려워져 신규 계좌개설 등에 운전면허증 등 대체 수단이 요구될 수 있고, 금융 거래 시 별도 서류제출 요청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이번 전산장애가 발생한 우체국과 관련된 자동이체 등 금융서비스가 일부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배출권 거래 시장, 인터넷 지로 및 온라인 대금결제 등 서비스는 해당 시스템 복구에 맞춰 정상 운영이 가능하다고 보고했습니다.

금융사들은 고객에게 팝업 페이지 등을 통해 장애가 발생한 금융서비스 내용과 추가로 필요한 서류나 대체 인증수단 등을 알리고, 대출 심사 과정에서도 대체 서류를 활용해 '선 신청접수, 후 요건확인' 등 방안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회사별로 대응센터 구축 등을 통해 사태 안정 시까지 당국과 긴밀한 소통체계를 지속해 나갈 예정입니다.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어려운 시기일수록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불편 최소화'를 최우선 가치로 해 현장에서 불편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달라"며 "금융회사들이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조치를 하더라도 사후에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비조치의견서 등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방안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혼란을 틈타 해킹 등 침해사고와 보이스피싱 등에 따른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금융보안·정보보호와 보이스피싱 대응에도 만전을 기해달라고 강조했습니다.

#금융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중앙사고수습본부 #시스템복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