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보안 구멍 (PG)[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올들어 보건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가 8월까지 5만6천건을 넘어서면서 작년 대비 166배 수준으로 폭증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오늘(29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김선민 의원이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들어 8월까지 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5만6,208건에 달했습니다.

복지부에 대한 해킹 시도는 2022년 1,144건에서 2023년 211건으로 줄었다가 지난해 338건을 기록했습니다.

올해가 다 가지 않았는데도 작년 대비로는 약 166배 수준, 2022년과 비교하면 약 49배 수준으로 폭증한 것입니다.

복지부 외에 산하기관에 대한 해킹 시도도 증가했습니다.

올해 들어 8월까지 확인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대한 해킹 시도는 7만5,513건으로 작년 3만8,570건 대비 95%, 2022년 3만9,702건 대비 89% 늘었습니다.

같은 기간 한국사회보장정보원에 대해서는 6만8,494건의 해킹 시도가 있었습니다. 작년 5,199건 대비 1,217%, 2022년 3,314건 대비 1,967% 급증했습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대한 해킹 시도는 5만3,888건으로, 작년 대비 104% 증가했고 2022년과 비교해 228% 증가한 규모입니다.

복지부를 포함한 전체 산하기관 해킹 시도 역시 2022년 21만9,807건에서 올해 8월 55만2,188건으로 151% 늘었습니다.

복지부는 "동일한 수준의 보안관제를 일괄 적용 중이나, 최근 해킹 시도가 늘어 고위험 기관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보안관제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각 기관의 위험도를 분류해 고위험 기관을 심층·집중적으로 관리하는 단계적 보안관제 체계를 수립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김선민 의원은 "복지부뿐 아니라 국민들의 재산·소득 정보를 가진 사회보장정보원까지 예년에 비해 해킹 시도가 급증하고 있어 언제라도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라며 "기관이 보유한 개인정보의 중요도를 분류해 위험도가 높은 기관에 대해서는 특별관리를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보건복지부 #해킹시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문형민(moonbro@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