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시가 시내 서북부권의 만성적인 교통정체 해소를 위해 대규모 도로 구조개선 사업에 나섰습니다.
시는 다음 달 1일부터 외삼~유성복합터미널 간선급행버스(BRT) 연결도로를 임시 개통하고 유성IC~장대교차로~구암교네거리~구암역삼거리 일원의 교통체계를 개선하는 등 서북부권 교통정체 해소책을 마련해 추진한다고 오늘(29일) 밝혔습니다.
이번 대책은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조성과 죽동·서남부 종합스포츠타운 등 대규모 개발사업으로 급증하는 교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시는 먼저 다음 달 1일 외삼~장대교차로~박산로 구간(5.8km)을 임시 개통합니다.
외삼~월드컵네거리~장대교차로 구간(4.9km)은 '중앙버스전용차로'로 운영됩니다.
대형 승합차와 36인승 미만 사업용 승합차, 16인승 이상 통학·통근 차량도 전용차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중앙버스전용차로에는 M1번·119번 버스가 우선 투입되고, 추후 B2, B4,123번 버스도 순차적으로 운행할 예정입니다.
시는 중앙버스전용차로 운영으로 인한 혼잡을 줄이기 위해 침신대네거리 교통섬을 축소해 양방향 좌회전 및 세종 방향 직진차로 확충, 반석네거리 세종 방향 횡단보도 철거를 통해 신호주기를 30초 추가 확보하는 등 보완 대책을 병행합니다.
내년까지 구암동 청년주택 다가온 인근 호남고속도로 하부 통로박스와 유성광역복합환승센터 진입도로 보상완료 부지를 활용해 유성IC~유성 광역복합환승센터를 연결하는 임시 진입도로를 왕복 4차선으로 개설할 계획입니다.

구조개선의 핵심은 '구암교차로' 신설입니다.
외삼~유성복합터미널 BRT 연결도로 호남고속도로 지선 통과 구간에 지하차도 건설(1구간)과 구암교차로 입체화(2구간)를 병행 추진합니다.
구암교차로 구간은 BRT 연결도로가 완전 개통되면 현재보다 70% 늘어난 하루 8천여대의 차량이 통행할 예상된 따른 것입니다.
장대교차로 입체화 사업도 정상 추진 중입니다.
당초 평면교차로 계획됐으나, 민선 8기 들어 죽동2지구와 장대지구 등 기존에 누락된 교통수요를 반영해 동서 방향 지하화로 전환했습니다. 현재 설계가 마무리 단계입니다.
시는 이들 사업이 완료되면 서북부권 통행량의 40% 이상이 분산되고, 현재 12.5분 소요되는 장대교차로~유성생명고등학교 등 고질적인 습 정체구간 통행시간이 절반 이상 단축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장우 시장은 "유성IC에서 장대교차로, 구암교네거리, 구암역삼거리로 이어지는 구간은 대전의 대표적인 병목 지점"이라며 "이번 구조개선은 유성 체류 차량과 둔산 도심권 통과 수요를 분산시켜 교통체계 전반에 획기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대전서북부권 #상습교통정체구간 #BRT연결도로 #구암교차로 #장대교차로입체와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은파(sw2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