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화 사회 상대적 빈곤율 OECD 최고…3명중 2명 '삶 불만족'[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올해 고령자 인구가 처음으로 전체 인구의 20%를 돌파하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했습니다.

올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051만4천명으로 전체 인구의 20.3%를 기록했습니다.

고령 인구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2036년에는 30%, 2050년에는 40%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65세 이상 고령자 가구는 618만7천가구로 전체의 27.6%에 달했습니다.

2038년에는 1천만 가구로 늘고, 2052년에는 절반 이상(50.6%)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2024년 기준 고령자 가구의 평균 순자산액은 4억6,594만원으로 전년보다 1,054만원 늘어났습니다.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지니계수(1이면 완전 불평등)는 2023년 0.380으로 전년(0.383)보다 소폭 완화됐습니다.

다만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중위소득 50% 이하)은 2023년 기준 39.8%로, 전년 보다 0.1%p 상승했습니다.

2022년 기준(39.7%)으로 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3개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65세 이상의 40.4%는 건강 관리에 시간을 투자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5년 전보다 6.3%포인트(p) 증가한 수치입니다.

외모 관리를 하는 경우는 전체의 58.0%로, 5년 전보다 11.3%p 증가했습니다.

고령자의 미디어를 활용한 여가 시간은 방송 시청이 하루 평균 3시간 30분으로 가장 많았고, 동영상 시청 19분, 독서 5분 등의 순이었습니다.

특히 동영상 시청 시간은 5년 사이 16분 증가했습니다.

또, 미디어를 활용해 여가를 보낸 경우 동영상을 시청한 비율은 21.6%로 18.1%p 뛰며 가장 큰 폭 증가를 기록했습니다.

평균 수면시간은 8시간 14분으로, 14분 줄었습니다.

#초고령화 #통계청 #빈곤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혜준(june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