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차량용 반도체 시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현대모비스 주도로 20여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협력에 나섭니다.
현대모비스는 오늘(29일) 경기 성남시 더블트리 바이 힐튼 서울 판교 호텔에서 '제1회 현대모비스 차량용 반도체 포럼'(Auto Semicon Korea·ASK)을 개최했습니다.
포럼에는 국내 완성차와 팹리스, 파운드리, 디자인하우스, 패키징, 설계 툴 전문사 등 23개 기업과 연구기관이 참여했습니다.
유럽, 북미, 일본이 글로벌 차량용 반도체 시장을 주도하는 상황에서 민간 주도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 공동 대응이 이뤄진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국내의 독자적 설계와 생산 능력을 확보해 안정적인 공급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입니다.
차량용 반도체 시장은 연평균 9%의 성장률과 함께 2030년에는 1,380억달러(약 200조원) 규모로 확대될 전망됩니다.
하지만 지난해 전 세계 100대 차량용 반도체 기업에 이름을 올린 국내 기업은 5곳에 불과했고, 시장 점유율도 3~4% 수준이었습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포럼 개최를 계기로 국내 차량용 반도체산업 육성을 위해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티어1(Tier 1) 부품사로서 완성차와 반도체 기업을 연결하는 동시에 반도체 설계를 담당하는 팹리스 역할도 수행한다는 계획입니다.
현대모비스 이규석 사장은 이날 포럼에서 "현재 5% 이하인 반도체 국산화율을 2030년 10% 이상으로 향상하는 게 궁극적 목표"라고 밝혔습니다.
또, "IT나 모바일에 특화된 기업들의 (차량용 반도체 시장) 신규 진출을 적극 장려하고, 이를 통해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포럼에서는 ▲국내 차량용 반도체 생태계 조성의 필요성 ▲모빌리티 핵심 반도체 국산화 방안 ▲협력 체계 구축을 위한 기술 방향성 등에 대한 발표와 토의가 진행됐습니다.
현대모비스 반도체사업담당 박철홍 전무는 이날 발표를 통해 "차량용 반도체는 제어기와의 상호 최적화가 가장 중요하다"며 "현대모비스는 제어기에 특화된 사양을 정의하고, 동시에 실차 기반 검증을 지원해 개발 속도를 빠르게 향상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현대모비스는 전기차 주행거리를 좌우하는 전력반도체와 핵심부품을 통합 개발하면 이를 각각 개발할 때보다 최대 2년 가까이 연구개발 속도를 단축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대모비스 #차량용반도체 #반도체 #자동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