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권거래소[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미국 개인 투자자들의 주식 투자액 비중이 1990년대 닷컴버블 당시 수치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CNN은 현지시간 28일 미국 개인 투자자들의 직접투자·간접투자·뮤추얼펀드·퇴직연금 등 금융자산 계좌에서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 2분기 사상 최대인 45%로 나타났다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자료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같은 기간 한국의 '서학개미'를 비롯한 외국인들의 미국 주식 보유 비중도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주식 투자액이 늘어난 것은 미국 주가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보유 자산의 가치를 끌어올렸기 때문입니다.

대표지수 S&P500은 연저점을 기록한 지난 4월 8일 이후 33% 올랐고, 연초와 견줘서도 13% 상승했습니다.

주가가 가파르게 상승하자 주식 시장에 참가하는 투자자가 늘어났고, 주식에 투자하는 퇴직연금 계좌인 '401K'의 인기도 덩달아 높아졌습니다.

주가가 오르면 투자 성과를 많은 투자자가 나눠 가질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지만, 금융가에서는 상황을 마냥 낙관적으로 바라보지는 않습니다.

존 히긴스 캐피털이코노믹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우리는 S&P500이 올해와 내년에 추가 수익을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하지만, 주식 비중이 매우 높은 현재 상황은 면밀히 들여다봐야 할 적신호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롭 앤더슨 네드데이비스리서치 미국 부문 전략가는 "역사적으로 주식 보유 비중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때, 경기가 하강할 위험과 수익률이 평균 이하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투자자들은 지난 10년간 성과가 반복될 것이라고 기대해선 안 된다"며 "향후 10년간 수익률은 하락할 가능성이 크다"고 강조했습니다.

최근 주가 상승이 인공지능(AI)에 대한 열광의 수혜를 입은 극소수 거대 기술기업들에 의존하고 있다는 점도 주의 깊게 바라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하워드 실버블랫 S&P 다우존스 지수 담당 수석 분석가는 '매그니피센트 세븐(7)'으로 불리는 구글·아마존·애플·메타·마이크로소프트(MS)·엔비디아·테슬라 등 7개 기업이 S&P500 상승분의 41%를 책임졌으며, 현재 이들 기업이 S&P500 시가총액의 34%를 차지한다는 점을 지적했습니다.

S&P500 지수가 점점 소수 기업에 의해 좌우되면 그만큼 위험이 커질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주가가 사상 최대를 기록하면서 'K자형 경제'에 대한 우려도 커집니다.

K자형 경제는 알파벳 'K'의 모양처럼 부자들의 자산은 우상향하고, 가난한 사람들의 자산은 우하향하는 양극화 경제를 일컫는 말입니다.

#주식 #개미 #닷컴버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