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지컬AI 얼라이언스 출범식 개회사하는 배경훈 장관<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과학기술·인공지능(AI) 정책을 총괄하는 과학기술부총리 체제가 17년 만에 부활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30일) 국무회의에서 정부조직법 개정안이 의결됨에 따라 부총리급 부처로 승격돼 국가 과학기술·AI 컨트롤타워 역할을 본격 수행한다고 밝혔습니다.

과기정통부는 2004년 부총리급 부처로 격상됐으나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에 통합되며 관련 직제가 폐지됐습니다. 이후 2013년 미래창조과학부로 재출범했지만 부총리 직제는 부활하지 못했습니다. 이번 개편은 올해 6월 취임한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 이행으로 추진됐습니다.

부총리 체제 복원으로 내년 35조원 규모로 확대되는 연구개발(R&D) 예산 심의·조정 권한이 강화되며, AI를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는 정책 추진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입니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통해 정부·민간·지방자치단체의 자원을 결집해 AI 혁신을 선도한다는 계획입니다.

조직 개편에 따라 부총리 직속으로 국장급 ‘과학기술·인공지능정책협력관’을 신설하고, 범부처 ‘과학기술·인공지능 관계 장관회의’를 설치합니다. 이 회의체는 단순한 안건 처리에서 나아가 부총리 주도로 국가적 의제를 기획·공유하는 협력 플랫폼으로 운영됩니다.

또한 기존 국 단위였던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을 ‘인공지능정책실’로 확대해 인공지능정책기획관과 인공지능인프라정책관을 산하에 둡니다. 기획관은 산업 육성과 제도 정비, 인재 양성을 담당하며, 인프라정책관은 AI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클라우드 등 핵심 기반을 확충해 공공·산업·지역 활용을 지원합니다.

아울러 대변인 직위를 실장급으로 상향해 과학기술·AI 정책을 국민에게 신속하고 알기 쉽게 전달하도록 소통 기능도 강화합니다.

배경훈 과기부총리 겸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개편이 단순한 조직 변화가 아니라 과학기술과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국가적 전환의 기폭제라며, 국민 모두가 AI 혜택을 누리는 사회를 실현하고 글로벌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과기부총리 #배경훈 #AI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욱(DK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