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센서 없이도 보행 제어 휴머노이드는 도심서 시연
디든로보틱스가 개발한 디든 로봇[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이 창업한 로봇 스타트업의 첨단 기술이 산업현장에서 상용화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KAIST는 지난해 3월 KAIST 기계공학과 휴보랩 DRCD연구실 출신 4명이 공동 창업한 디든로보틱스가 철제 벽면과 천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는 '승월(昇越) 로봇' 기술을 상용화해 다음 달 1일 열리는 '국제 휴머노이드 로봇학회 2025)에서 선보인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대표 제품 '디든(DIDEN) 30'은 사족보행 로봇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족형 다리 구조, 자석발을 결합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고위험 환경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디든 30은 선박 건조 현장에서 빽빽한 구조물로 이뤄진 철제 보강재(론지)를 넘는 '론지 극복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현재는 선박 내부의 좁은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용접·검사·도장 등 실제 작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3차원(3D) 인식 기술을 고도화, 4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지도 작성 기술 등을 통해 내년까지 작업자 개입 없는 완전 자율 보행 시스템을 완성하는 게 목표입니다.
디든로보틱스는 지난달 삼성중공업에서 론지 극복과 승월 테스트, 용접작업 등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등 실험실 수준을 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유로보틱스의 휴머노이드 로봇[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KAIST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명현 교수 연구팀 출신 3명이 공동 창업한 자율 보행 스타트업인 유로보틱스도 실내외 자율보행 기술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최근 유로보틱스가 개발한 라이다(LiDAR·자율주행체 센서) 없이 내장 정보만으로 맹목 보행 제어가 가능한 휴머노이드가 서울 강남 도심 인파 속을 걸어 다니는 기술을 시연해 주목받았습니다.
배현민 KAIST 창업원장은 "학내 로봇산업이 활발히 성장할 수 있도록 초기 단계부터 밀착 지원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유로보틱스 #디든 #디든로보틱스 #조선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은파(sw21@yna.co.kr)

한국과학기술원(KAIST) 출신이 창업한 로봇 스타트업의 첨단 기술이 산업현장에서 상용화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KAIST는 지난해 3월 KAIST 기계공학과 휴보랩 DRCD연구실 출신 4명이 공동 창업한 디든로보틱스가 철제 벽면과 천장을 자유롭게 이동하며 작업할 수 있는 '승월(昇越) 로봇' 기술을 상용화해 다음 달 1일 열리는 '국제 휴머노이드 로봇학회 2025)에서 선보인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대표 제품 '디든(DIDEN) 30'은 사족보행 로봇으로, 자율주행 기술과 족형 다리 구조, 자석발을 결합해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고위험 환경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됐습니다.
디든 30은 선박 건조 현장에서 빽빽한 구조물로 이뤄진 철제 보강재(론지)를 넘는 '론지 극복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치며 현장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현재는 선박 내부의 좁은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기능을 고도화하는 연구를 진행 중입니다.
내년 하반기부터는 용접·검사·도장 등 실제 작업에 투입될 수 있도록 성능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로봇의 '눈'에 해당하는 3차원(3D) 인식 기술을 고도화, 4대의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지도 작성 기술 등을 통해 내년까지 작업자 개입 없는 완전 자율 보행 시스템을 완성하는 게 목표입니다.
디든로보틱스는 지난달 삼성중공업에서 론지 극복과 승월 테스트, 용접작업 등을 성공적으로 마치는 등 실험실 수준을 넘어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검증을 완료했습니다.

명현 교수 연구팀 출신 3명이 공동 창업한 자율 보행 스타트업인 유로보틱스도 실내외 자율보행 기술 상용화를 추진 중입니다.
최근 유로보틱스가 개발한 라이다(LiDAR·자율주행체 센서) 없이 내장 정보만으로 맹목 보행 제어가 가능한 휴머노이드가 서울 강남 도심 인파 속을 걸어 다니는 기술을 시연해 주목받았습니다.
배현민 KAIST 창업원장은 "학내 로봇산업이 활발히 성장할 수 있도록 초기 단계부터 밀착 지원하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말했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유로보틱스 #디든 #디든로보틱스 #조선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은파(sw2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