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연휴 기간에도 몸이 아프면 동네 병‧의원이나 작은 응급실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경증인 경우 방문한 의료기관에서 치료를 받으면 되고, 만약 중증질환이 의심된다면 큰 병원으로 이송할 수 있습니다.

전국에 문 여는 병‧의원은 일 평균 약 8,800개소입니다.

전국 지역응급의료기관은 232개소, 응급의료시설은 113개소가 있습니다.

주변에 어느 병원이나 응급실이 문을 열었는지 확인할 때에는 ‘응급똑똑’ 앱을 사용하면 편리합니다.

'응급똑똑'은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증상정보를 바탕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앱입니다.

이밖에도 사용자 위치를 중심으로 병‧의원과 약국, 달빛어린이병원, 응급실 등의 진료과목, 진료여부 등 의료시설 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2세 이하 소아에게 갑작스러운 증상이 나타날 때는 아이안심톡(http://icaretok.nemc.or.kr)을 이용하면 됩니다.

아이안심톡은 소아‧응급 전문의가 24시간 상담을 제공하는 소아전문상담센터입니다.

아이안심톡에 접속하면 먼저 ‘응급똑똑’앱에 기반한 증상 분류를 해야 합니다.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119신고나 의료기관 이용을 안내하고, 상담은 1:1 게시판에 문의할 수 있습니다.

상담 의료진은 입력된 소아환자의 현재 증상, 과거 병력을 바탕으로 가정에서 가능한 응급처치, 상비약 이용 안내, 추후 증상 변화에 따른 추가 조치 사항 등을 게시판 답글 또는 전화로 안내합니다.

의료진이 답변을 남기는 즉시 보호자에게 문자 등으로 알림을 제공합니다.

만약 호흡곤란, 갑작스런 팔다리 저림, 혀 마비 등 중증질환에 동반되는 심각한 증상이 있는 경우라면,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

증상을 혼자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119로 신고하면 의학적인 상담이 가능합니다.

보건복지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추석 연휴 기간 동안 응급진료상황실을 운영할 계획입니다.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 운영상황도 점검합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연휴 기간 응급실 과밀화를 해소하기 위해 문 여는 병의원과 약국은 한시적 수가 가산을 통해 최대치로 확보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응급실 앞 구급차[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추석 #병원 #약국 #소아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덕재(DJ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