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미 공동 연구팀이 피부세포 핵을 난자에 이식해 수정이 가능한 난자로 만들고 배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미국 오리건 보건과학대(OHSU)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교수팀과 한국 차의과대학 강은주 교수·이연미 박사팀은 현지시간 1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ure Communications)을 통해 "피부세포 핵을 핵을 제거한 난자에 삽입 후 수정 가능한 난자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연구팀은 "이렇게 만든 난자가 수정 후 6일 째가 되는 배반포(blastocyst) 단계까지 발달한 것을 확인했다"고 전하면서, 이를 사람의 난임 치료에도 실행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수정란을 만드는 데 필요한 부모의 정자와 난자의 기능에 문제가 생기면, 기존의 체외수정(IVF) 방법이 효과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체세포의 핵을 기증 난자에 이식해 정상적인 난자로 만드는 것은 잠재적 해결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그러나 염색체가 23개인 난자, 정자와 달리 체세포의 핵은 염색체가 23쌍(46개)를 가지고 있어 그대로 수정될 경우 염색체 수가 69개가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이에 연구팀은 전기 자극과 약물을 투여해 체세포 염색체를 절반으로 줄이는 '체세포 감수분열 기법'을 개발해 시험했지만, 동물 실험에 그칠 뿐 아직까지 인간 세포에서는 방법이 검증되지 않았습니다.
해당 연구팀이 배양한 수정란의 약 9%가 배반포 단계까지 발달했지만, 이는 기존 체외수정(IVF) 치료에서 자궁에 배아를 이식하는 단계로 윤리 규제에 따라 이후 배양은 중단했습니다.
연구팀은 해당 연구가 배아의 특정 수정 단계 이상은 관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나 해당 연구의 개념이 "'체세포 핵이식'과 '유사 감수분열 방법'이 인간 세포에서도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며 향후 이를 임상에 적용하려면 "효과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강은주 교수·이연미 박사팀은 난자가 없는 여성도 아이를 낳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미국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난자수정 #체세포분열 #난임 #피부세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전소미(jeonsomi@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