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차단된 아프가니스탄 카불[AFP 연합뉴스][AFP 연합뉴스]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하는 이슬람 무장 조직 탈레반 정권이 '부도덕한' 행위를 막겠다며 최근 일부 지역에 내린 인터넷 금지령을 사실상 전국으로 확대했습니다.

현지시간 1일 로이터 통신 등에 따르면 탈레반 정권은 지난달 29일부터 아프간 전역에서 인터넷과 휴대전화 데이터 서비스를 차단했습니다.

인터넷 모니터링 업체 '넷블록스'에 따르면 전날 아프간의 인터넷 연결률은 1% 아래에 머물렀습니다.

이 업체는 "지난달 29일부터 단계적으로 연결이 차단됐고, 인터넷과 시설을 공유하는 전화 서비스도 영향을 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탈레반 정권은 지난달 17일 하이바툴라 아쿤드자다 최고 지도자의 지시에 따른 조치라며 전국 34개 주 가운데 10개 주에서 인터넷 접속을 먼저 차단했습니다.

당시 아타울라 자이드 북부 발크주 대변인은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이번 조치는 부도덕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시행됐다"고 밝혔습니다.

인터넷과 휴대전화 서비스가 한꺼번에 차단되자 은행 업무와 항공기 운항이 중단되는 등 아프간 전역에서 큰 혼란이 빚어졌습니다.

민간 인터넷 서비스 업체에서 일하는 샤비르는 "아무도 친척들의 상황을 알지 못한다"며 "아프간 안에서도 우리는 소통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파키스탄에서 일하는 아프간인 메디는 AFP에 "어머니와 형제자매들이 아프간에 있다"며 "하루에 10차례 넘게 전화를 걸었지만, 연락이 닿지 않는다"고 하소연했습니다.

그는 "은행을 통한 송금도 더는 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보통 메신저 앱이나 소셜미디어(SNS)를 이용하는 탈레반 정권도 인터넷을 차단한 이후 이번 조치와 관련한 공식 입장을 아직 밝히지 않았습니다.

올해 초 기준 아프간의 인터넷 이용자 수는 1,320만 명으로 전체 인구 4,300만여 명의 30.5%에 이르고, 소셜미디어 이용자 수는 400만 명이 넘습니다.

남아시아 전문가인 마이클 쿠겔만은 AP에 "탈레반이 1990년대 집권 때보다 이념적으로는 조금도 온건해지지 않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탈레반 #인터넷 #금지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성섭(lees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