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달러화 가치가 급락하면서 세계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달러화 비중이 1995년 이후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현지 시간 1일 각국 중앙은행의 외환보유액에서 차지하는 달러화 비중이 지난 3월 말 57.79%에서 6월 말 56.32%로 1.47%포인트(p) 하락했다고 밝혔습니다. 30년 만의 최저치입니다.
하지만 고정 환율 기준으로 보면 달러화 비중은 6월 말 57.67%로 계산돼 2분기에 거의 변동이 없다고 IMF는 설명했습니다.
IMF는 "지난 2분기 달러화 비중 감소분의 92%는 환율 변동으로 설명된다"며 "유로화를 비롯한 다른 통화에서도 비슷한 환율 효과가 나타난다"고 짚었습니다.
지난 2분기 달러화는 유로화 대비 9%, 스위스프랑 대비 11%, 파운드 대비 6% 각각 급락했습니다.
상반기 전체로 보면 유로화 등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가 10% 이상 하락해 1973년 이후 최대 하락 폭을 보였습니다.
지난 2분기 달러화가 급락한 배경으론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부과 예고로 미국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된 점, 트럼프 대통령이 연방준비제도에 기준금리 인하를 거듭 압박한 점, 지난 7월 초 통과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이 미국의 재정적자를 확대할 것이란 우려가 확산한 점 등이 지목됐습니다.
#달러 #외환보유액 #IMF #유로화 #트럼프 #관세 #기준금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강은나래(ra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