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쌀 생산량이 지난해보다 1만 톤 이상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가운데, 정부는 이 수치가 예상 수요량보다 16만 5천 톤 많은 수준이라고 진단했습니다.
국가데이터처가 오늘(2일) 발표한 '2025년 쌀 예상생산량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쌀 생산량은 357만 4천 톤으로 작년보다 0.3%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이는 2020년 350만 7천 톤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적은 수준입니다.
올해 재배면적은 67만 8천 헥타르로 지난해보다 2.9%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75년 이후 가장 작은 규모입니다.
다만 농림축산식품부는 "올해 쌀 예상 생산량은 밥쌀·가공용 소비, 정부 공공비축 물량 등을 감안한 신곡 예상 수요량보다 16만 5천 톤 많은 수준"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또 10아르당 예상 생산량은 527㎏으로 작년보다 2.7%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가지를 치는 6~7월과 벼 낟알이 형성되는 7~8월 사이 일조시간 등의 기상 여건이 양호했던 영향입니다.
시도별로는 전남의 쌀 예상 생산량이 70만 4천 톤으로 가장 많았고, 충남 69만 7천 톤, 전북 54만 6천 톤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한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격정보에 따르면 지난달 26일 기준 평균 일반 쌀 소매가격은 20㎏당 6만 6,061원으로 작년 대비 29.6% 올랐습니다.
농식품부는 "10월 중순 이후에는 산지 쌀값이 안정화되고 소비자 쌀값도 연착륙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 달 중순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열어 올해 쌀 수확기 대책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쌀 #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도헌(dohone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