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최지숙 경제부 기자>
현 정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한미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타결 여부에 시선이 쏠린 가운데 시한인 다음달 1일까지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됩니다.
경제부 최지숙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이제 협상 시한을 일주일 정도만 남긴 상태입니다. 원래 현지시간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협의’는 연기됐는데 우선 어제(24일) 상황 잠시 짚어주시죠.
<질문 2> 네, 그런데 갑작스럽게 협상 연기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상 기류 아니냐,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는 것 같아요?
<질문 3> 김정관 산업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현지에 계속 체류 중인데 통상 수장 간 회담은 이뤄졌죠?
<질문 4> 네, 막판까지 치열한 협상이 예상되는데 문제는 미국의 압박이 만만치 않은 것 같아요. 특히 일본과 무역 협상이 타결되면서 정부 부담이 더 커진 것 같은데요.
<질문 5>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이 미일 무역 합의를 보고 욕을 했을 것이다', 이런 얘기도 했다고요?
<질문 6> 협상 카드가 뭐가 될지가 결국 관건으로 보이는데요, 대미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어요?
<질문 7> 네 대미 투자 규모가 얼마가 될지 관심인데 당초 쌀, 소고기 등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 전망도 나오지 않았습니까? 잠시 짚어주시죠.
<질문 8> 다음달 1일 시한 전에 협상 타결이 가능할지, 전망이 궁금한데 어떤 관측들이 나오고 있나요?
#한국 #미국 #관세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현 정부 최대 현안으로 떠오른 한미 관세 협상이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타결 여부에 시선이 쏠린 가운데 시한인 다음달 1일까지 치열한 줄다리기가 예상됩니다.
경제부 최지숙 기자와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이제 협상 시한을 일주일 정도만 남긴 상태입니다. 원래 현지시간 25일로 예정됐던 한미 재무·통상 수장 간 ‘2+2 협의’는 연기됐는데 우선 어제(24일) 상황 잠시 짚어주시죠.
<질문 2> 네, 그런데 갑작스럽게 협상 연기 소식이 전해지면서 이상 기류 아니냐, 여러 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는 것 같아요?
<질문 3> 김정관 산업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현지에 계속 체류 중인데 통상 수장 간 회담은 이뤄졌죠?
<질문 4> 네, 막판까지 치열한 협상이 예상되는데 문제는 미국의 압박이 만만치 않은 것 같아요. 특히 일본과 무역 협상이 타결되면서 정부 부담이 더 커진 것 같은데요.
<질문 5> 미국 상무장관은 '한국이 미일 무역 합의를 보고 욕을 했을 것이다', 이런 얘기도 했다고요?
<질문 6> 협상 카드가 뭐가 될지가 결국 관건으로 보이는데요, 대미 투자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는 얘기가 있어요?
<질문 7> 네 대미 투자 규모가 얼마가 될지 관심인데 당초 쌀, 소고기 등 농산물 시장 추가 개방 전망도 나오지 않았습니까? 잠시 짚어주시죠.
<질문 8> 다음달 1일 시한 전에 협상 타결이 가능할지, 전망이 궁금한데 어떤 관측들이 나오고 있나요?
#한국 #미국 #관세협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