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프랑스가 서방 주요국 중 처음으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동 평화와 안보, 인도주의가 얽힌 복합적인 사안으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에 중요 변수로 작용할 수 있는데요.

유럽 내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김지수 기자입니다.

[기자]

프랑스가 오는 9월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서방 주요국 중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한 건 프랑스가 처음입니다.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중동 평화를 위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기로 했다"며 "가장 시급한 과제는 가자지구에서의 전쟁을 종식시키고 민간인들에게 구호품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현재 유엔 회원국 중 러시아와 중국, 인도 등은 팔레스타인을 독립국으로 승인했지만, 미국과 일본, 영국 등은 여전히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프랑스의 결정에 영국에서도 동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습니다.

영국 여야 하원 의원 100여명은 키어 스타머 총리에게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라는 공개 서한을 보냈습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전쟁 중인 이스라엘은 프랑스의 결정에 강력 반발하고 있고, 미국도 "무모한 결정"이라고 비판했습니다.

프랑스 내에서도 비판의 목소리는 있습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여전히 존재하고 활동 중이며, 미국이 제안한 휴전 협정을 거부한 상황에서 이같은 결정은 위험하다는 겁니다.

<세르주 다한/프랑스 유대인 기관 대표 평의회(CRIF)의 부회장>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겠다’고 말하는 것은, 도덕적으로는 테러리스트를 정당화하는 것, 즉 증오로 타인을 죽이는 자들을 정당화하는 것입니다."

여기에 독일은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은 두 국가 해법의 실현으로 가는 최종 단계 중 하나"라며 단기간 내에 팔레스타인을 인정할 계획은 없다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분쟁 해결의 마땅한 돌파구를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유엔은 가자지구 전체의 3분의 1이 굶주림에 허덕이고 있고, 영양실조가 급증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

#팔레스타인 #프랑스 #중동 #유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지수(goodm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