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기업들은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지만, 근로자 사망사고는 매년 되풀이됐습니다.
사실상 책임을 피하기 위한 '미봉책'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인데요.
그래도 최근에는 산업재해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들도 늘고 있습니다.
김도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근로자 사망 사고 후에도 공장 가동을 유지했던 SPC와 사고 구역을 임시 점검하는 데 그쳤던 포스코.
기업들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근로자 사망 사고는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여론이 들끓을 때만 미봉책을 내놓는 데 그친 게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이병훈 /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사후 약방문처럼. 우리가 뭘 하겠다 그러는데 그런 일들이 계속 되풀이되고 있다는 얘기는 그들이 발표한 그런 안전 조치를 하고 투자하겠다는 게 사실 면피성에 그치지 않았나."
다만 일부 기업들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장 안전체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등 과감한 투자에 나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식품업계 최초로 공장에 인공지능 CCTV를 도입하고 사고 발생 시 작업을 즉시 중단하도록 하는 작업중지권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내가 다치면서까지 해야 할 일은 단 하나도 없다"는 구호를 세운 한국동서발전은 추락 시 자동으로 펼쳐지는 '에어백 스마트 안전조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화재나 감전 사고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재센터를 24시간 운영하고, 공장 인근에 상시 대기하는 비상출동차량을 배치했습니다.
파마리서치는 위해 기계에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등 잠재적인 재해를 관리하는 '무(無)재해' 운동에 나서면서 국제표준화기구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렇게 기업들도 안전 관리에 힘쓰기 시작하면서 최근에는 국제표준인증뿐 아니라 국내 SCC 같은 중대재해처벌법 준수 인증제 도입도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다만 비교적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자체적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금구 / 노무법인씨앤비HR 노무사 >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들 같은 경우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어떤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안전에 대한 투자 여력이 없는 거죠."
이에 한 달에 최저 3만 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독형 스마트 안전보건 플랫폼도 등장했는데, 중소규모 사업장도 안전 관리 시스템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금구 / 노무법인씨앤비HR 노무사> "정부에서 하고 있는 일회성의 컨설팅 플러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랫폼이 같이 지원돼야 효과가 발생하지 않겠나…"
전문가들도 민관협력을 통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병훈 /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안전 불감의 사각지대를 줄여나간다 한다면…정부가 적극 나서서 산업안전에 대한 여러 가지 노력을 더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계의 자발적인 노력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 전방위적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도헌입니다.
[영상취재 최승아 함정태]
[영상편집 이예림]
[그래픽 심규택]
#기업 #산업재해 #근로자 #노동 #중대재해처벌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도헌(dohoney@yna.co.kr)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기업들은 '재발 방지 대책'을 내놨지만, 근로자 사망사고는 매년 되풀이됐습니다.
사실상 책임을 피하기 위한 '미봉책'에 그쳤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인데요.
그래도 최근에는 산업재해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기업들도 늘고 있습니다.
김도헌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근로자 사망 사고 후에도 공장 가동을 유지했던 SPC와 사고 구역을 임시 점검하는 데 그쳤던 포스코.
기업들은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약속했지만, 근로자 사망 사고는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여론이 들끓을 때만 미봉책을 내놓는 데 그친 게 아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대목입니다.
<이병훈 /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사후 약방문처럼. 우리가 뭘 하겠다 그러는데 그런 일들이 계속 되풀이되고 있다는 얘기는 그들이 발표한 그런 안전 조치를 하고 투자하겠다는 게 사실 면피성에 그치지 않았나."
다만 일부 기업들은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장 안전체계를 새롭게 구축하는 등 과감한 투자에 나서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CJ제일제당은 식품업계 최초로 공장에 인공지능 CCTV를 도입하고 사고 발생 시 작업을 즉시 중단하도록 하는 작업중지권 제도를 시행 중입니다.
"내가 다치면서까지 해야 할 일은 단 하나도 없다"는 구호를 세운 한국동서발전은 추락 시 자동으로 펼쳐지는 '에어백 스마트 안전조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LG이노텍은 화재나 감전 사고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방재센터를 24시간 운영하고, 공장 인근에 상시 대기하는 비상출동차량을 배치했습니다.
파마리서치는 위해 기계에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등 잠재적인 재해를 관리하는 '무(無)재해' 운동에 나서면서 국제표준화기구 인증을 획득했습니다.
이렇게 기업들도 안전 관리에 힘쓰기 시작하면서 최근에는 국제표준인증뿐 아니라 국내 SCC 같은 중대재해처벌법 준수 인증제 도입도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다만 비교적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은 자체적인 안전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금구 / 노무법인씨앤비HR 노무사 > "50인 미만 중소규모 사업장들 같은 경우는 중대재해처벌법의 어떤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안전에 대한 투자 여력이 없는 거죠."
이에 한 달에 최저 3만 원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구독형 스마트 안전보건 플랫폼도 등장했는데, 중소규모 사업장도 안전 관리 시스템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금구 / 노무법인씨앤비HR 노무사> "정부에서 하고 있는 일회성의 컨설팅 플러스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스마트 플랫폼이 같이 지원돼야 효과가 발생하지 않겠나…"
전문가들도 민관협력을 통해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총력을 다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이병훈 / 중앙대 사회학과 명예교수> "안전 불감의 사각지대를 줄여나간다 한다면…정부가 적극 나서서 산업안전에 대한 여러 가지 노력을 더 확충해 나갈 필요가 있다."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서는 산업계의 자발적인 노력과 함께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등 전방위적 대응이 필요해 보입니다.
연합뉴스TV 김도헌입니다.
[영상취재 최승아 함정태]
[영상편집 이예림]
[그래픽 심규택]
#기업 #산업재해 #근로자 #노동 #중대재해처벌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도헌(dohone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