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상호관세 부과 시한인 다음달 1일을 앞두고 한미 관세 협상이 운명의 한 주를 맞았습니다.

시한 전 타결을 목표로 막바지 협상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 상호관세와 품목관세 모두 당초 목표대로 인하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최지숙 기자입니다.

[기자]

한 차례 연기됐던 한미 재무 수장 간 관세 담판이 이번 주로 예정되면서, 새 정부 출범 후 두 달 가까이 치열하게 전개된 관세 협상도 정점을 향해가는 모습입니다.

트럼프 행정부가 다음달 1일까지 주요 교역국과의 무역 협상을 끝내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가운데 정부도 시한 내 타결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과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은 체류 기간을 연장해 미국에 머물며,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과의 두 차례 협의를 비롯해 최종 담판 전 사전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협상 막바지로 현지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고 있다"면서 "25% 상호관세 등이 그대로 부과되지 않도록 남은 기간 타결에 정부 차원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협상 초반 정부는 관세 전면 폐지를 주장하기도 했지만 관세 부과를 피할 순 없다는 판단 아래, 현재는 일본과 같은 수준인 15% 정도의 상호 관세 타결을 노려보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협상 주도권을 쥔 미국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일본의 사례를 들어 과감한 대미 투자를 요구하는가 하면, 미국산 소고기 수입 규제를 완화한 호주와의 협상을 거론하며 수입 제한 국가들은 두고 보겠다고 으름장을 놓는 상황.

이에 따라 조선업 등 제조업 협력은 물론 대미 투자와 농산물 시장 개방까지, 가능한 모든 카드가 협상 테이블에 올라 있습니다.

15% 수준의 상호 관세는 미국 측의 요구사항 수용 시 불가능하진 않다는 게 대체적 관측입니다.

문제는 이미 타격을 받고 있는 자동차·철강 등 품목 관세인데,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알루미늄 관세의 특정 국가 면제 가능성을 일축한 상태입니다.

일본은 상호관세와 별도로 자동차 품목관세를 15%로 끌어내렸지만, 50%의 철강 관세는 낮추지 못했습니다.

담판을 통해 상호관세가 인하돼도 품목관세는 희비가 갈릴 가능성이 여전한 가운데, 정부는 우리 기업이 경쟁국 대비 불리한 대우를 받지 않는 데 방점을 두겠다는 입장입니다.

연합뉴스TV 최지숙입니다.

[영상취재 이덕훈]

[영상편집 김동현]

[그래픽 남진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최지숙(js173@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