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김동혁 기상전문기자>
전국적으로 극심한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태풍이 되살아날 정도로 한반도 남쪽도 펄펄 끓고 있는데요.
날씨가 왜 이렇게 뜨거운지, 폭염이 누그러지긴 하는 건지 김동혁 기상전문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연일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밖에서 조금만 있어도 땀이 흘러내릴 정도인데요. 오늘도 기온이 크게 올랐다고요?
<질문 2> 어제 서울에서는 낮 기온이 38도까지 올라서 역대 손에 꼽는 폭염이 나타났는데요. 과거 더위가 가장 심했던 1994년, 2018년과 비교해서는 올여름 더위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질문 3> 북상 중에 약화했던 태풍이 되살아났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그만큼 바다도 굉장히 뜨겁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4> 그럼 8호 태풍 '꼬마이'가 우리나라에 폭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
<질문 5> 또 다른 태풍 9호 '크로사'도 북상하고 있습니다. 이 태풍의 예상 경로는 어떤가요?
<질문 6> 폭염이 해소되지 않고 이렇게 극한 더위가 이어지는 원인은 뭔가요?
<질문 7> 7월 말~8월 초가 많은 분들이 휴가를 가는 철이기도 하지만, 일 년 중에서 가장 뜨거운 시기이기도 하거든요. 지금의 폭염이 휴가철에 계속되거나 더 강해질까요?
#날씨 #기상청 #주말 #폭염 #더위 #일요일 #태풍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혁(dhkim1004@yna.co.kr)
전국적으로 극심한 폭염과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태풍이 되살아날 정도로 한반도 남쪽도 펄펄 끓고 있는데요.
날씨가 왜 이렇게 뜨거운지, 폭염이 누그러지긴 하는 건지 김동혁 기상전문기자와 알아보겠습니다.
<질문 1> 연일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밖에서 조금만 있어도 땀이 흘러내릴 정도인데요. 오늘도 기온이 크게 올랐다고요?
<질문 2> 어제 서울에서는 낮 기온이 38도까지 올라서 역대 손에 꼽는 폭염이 나타났는데요. 과거 더위가 가장 심했던 1994년, 2018년과 비교해서는 올여름 더위가 어느 정도 수준인가요?
<질문 3> 북상 중에 약화했던 태풍이 되살아났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그만큼 바다도 굉장히 뜨겁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 4> 그럼 8호 태풍 '꼬마이'가 우리나라에 폭염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건가요?
<질문 5> 또 다른 태풍 9호 '크로사'도 북상하고 있습니다. 이 태풍의 예상 경로는 어떤가요?
<질문 6> 폭염이 해소되지 않고 이렇게 극한 더위가 이어지는 원인은 뭔가요?
<질문 7> 7월 말~8월 초가 많은 분들이 휴가를 가는 철이기도 하지만, 일 년 중에서 가장 뜨거운 시기이기도 하거든요. 지금의 폭염이 휴가철에 계속되거나 더 강해질까요?
#날씨 #기상청 #주말 #폭염 #더위 #일요일 #태풍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혁(dhkim1004@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