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재명 정부 첫 한미정상회담 일정표가 확정되면서 어떤 의제가 대화 테이블에 오를지 주목됩니다.

무엇보다 트럼프 행정부의 '안보 청구서'에 관심이 쏠리는데요.

동맹 현대화 방안은 물론, '마스가 프로젝트' 같은 관세협상 세부 조치도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김민아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새 정부 출범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의 주요 의제 중 하나로 꼽히는 건 '동맹 현대화'입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한미 동맹을 미래형 포괄적 전략동맹으로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방안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급변하는 국제 안보와 경제 환경에 대응하는 차원에서 동맹 현대화를 논의한다는 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

한미 간 '동맹 현대화'는 주한미군 규모와 역할의 재조정은 물론 한국의 국방비 증액, 전시작전권 전환까지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미국이 먼저 동맹 현대화를 강력히 요구해왔는데, 최근 주한미군사령관은 "주한미군에 변화가 필요하다"며 "곧 관련된 결정이 있을 것"이라고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미국이 관세협상 과정에서 한국의 국방비 지출을 GDP 대비 3.8%수준으로 늘리는 방안을 요구하려 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국방비 증액 논의가 시작될지 주목됩니다.

다만, 외교가에선 양국 정상의 첫 만남인 만큼 국방비 증액에 관한 세부 사항은 추후 한미 외교·국방 2+2 협의 등 실무선에서 조율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최근 타결된 관세 협상 결과를 바탕으로 통상을 포함한 경제협력 세부 방안도 논의 테이블에 오를 전망입니다.

<강유정 / 대통령실 대변인> "조선업 등 제조업 분야를 포함한 경제협력과 핵심 광물 등 경제안보 파트너십을 양국 간 더욱 강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특히 조선 협력의 경우 1,500억 달러라는 투자 규모만 공개됐을 뿐이어서, 구체적인 투자방식과 투자처에 대한 합의도 필요한 상황입니다.

관세협상 결과가 공식 문서가 아닌 '비망록' 형식으로 작성돼, 이번 회담에서는 양측의 해석이 달리 표출될 수 있단 우려도 나옵니다.

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의 첫 대면에서 우호적 관계를 구축하고, 안보와 통상 모두 실익을 챙길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연합뉴스TV 김민아입니다.

[영상취재 이일환]

[영상편집 박은준]

[그래픽 심규택]

#이재명 #도널드_트럼프 #한미정상회담 #한미관세협상 #동맹_현대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