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 여파가 나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속속 서비스 복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김태욱 기자

[기자]

네. 행정안전부에 나와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조금 전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국민께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며 머리 숙여 사과했습니다.

윤 장관은 밤사이 복구 작업을 벌인 결과 화재로 중단됐던 행정정보시스템 중 46개의 복구를 마쳤다고 밝혔는데요.

주민등록등본 등 각종 서류를 발급받는 정부 24와 우체국 금융 및 소포, 국제우편, 택배 서비스도 복구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오늘 오전 9시 기준 복구된 시스템은 모두 46개로 복구율로는 7%대에 그치면서, 행정 시스템 마비 사태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앵커]

김 기자, 이번 전산망 화재로 인한 완전 복구까지는 2주 가량 걸릴 예정이라고요?

[기자]

네. 전소된 96개 시스템을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소실된 시스템 가운데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는데요.

행안부 관계자는 "전소된 서비스는 철거하고 재설치하는 것보다 대구센터로 옮겨 새로 설치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판단했다"며 "자원 풀을 구성하는 데 시간이 필요해 완전 복구까지 약 2주 정도 걸릴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국민안전과 국민 재산과 경제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을 최우선으로 하고, 시스템 중요도 등 등급제에 따라 우선순위를 두고 복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는데요.

하지만 국민 이용 빈도가 높은 무인민원발급기와, 조달청 나라장터 등은 아직 복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또 2차 소비쿠폰은 신청과 사용이 가능하지만, 국민신문고가 중단되면서 이의신청은 직접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상황인데요.

복구가 더디게 이뤄지는데다 추석 연휴 직전인 만큼 일선 구청과 읍면동 주민센터 등에서는 '민원 대란' 등 현장 혼란이 예상됩니다.

지금까지 행정안전부에서 연합뉴스TV 김태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욱(tw@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