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 여파가 나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정부24와 우체국 금융 등 일부 서비스에 대한 복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들어보겠습니다.

김태욱 기자

[기자]

네. 행정안전부에 나와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오전 9시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을 통해 이번 화재로 국민께 큰 불편을 끼쳐드렸다며 머리숙여 사과했습니다.

윤 장관은 밤샘 복구 작업을 벌인 결과 국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행정정보시스템인 정부 24와 우체국 금융서비스의 복구를 마쳤다고 밝혔는데요.

하지만 화재로 중단된 647개 시스템 중 복구된 시스템은 오늘 오전 기준 55개로 복구율로는 채 10%가 안돼, 행정 시스템 마비 사태는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난해 기준 145조 원이 거래된 나라장터 시스템도 중단됐었지만, 조달청은 오전 9시부터 재해복구시스템으로 전환해 대금 지급 등 나라장터 일부 서비스를 재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장애 해소시까지 민원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합동 민원센터와 지역 민원센터, 그리고 민원전담지원반을 운영한다고 밝혔는데요.

또 서비스가 재개될때마다 주요 포털사이트와 보도자료 등을 통해 안내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김 기자, 시스템 복구가 늦어지는 이유가 뭔가요?

[기자]

네. 일단 전소된 시스템을 복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 장관은 "전소된 7-1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은 바로 재가동이 쉽지 않다"고 밝혔는데요.

또, 복구를 위해서 "대구센터의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로 이전 복구를 추진해 최대한 신속하게 대체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이들 시스템 이전과 재가동에는 약 2주가 걸릴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전체 서비스 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소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 주요 서비스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각종 민원과 제안을 비롯해 2차 소비쿠폰 이의신청까지 맡던 국민신문고 중단에 따라 관련 민원을 위해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상황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행정안전부에서 연합뉴스TV 김태욱입니다.

[영상편집 김소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욱(tw@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