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본원 화재 여파가 나흘째 이어지는 가운데 시스템 복구가 차차 이뤄지고 있습니다.

정부24와 우체국 금융, 나라장터 등 62개 서비스가 재개됐지만 모든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지는 4주 가량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행정안전부에 나가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태욱 기자!

[기자]

네.

조금 전인 오후 2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브리핑을 진행했습니다.

중대본은 오늘 낮 12시 기준으로 장애가 발생한 647개 시스템 중 62개 시스템이 정상화 됐고, 이 가운데 1등급 업무는 16개로 44.4%가 정상화됐다고 밝혔습니다.

오전 10시보다 7개가 추가 복구된 가운데, 복구된 서비스로는 조달청 나라장터 대금결제와 인터넷우체국을 통한 통한 국내우편과 전자우편, 국제우편 접수 조회 서비스 등이 포함됐습니다.

다만 전체 시스템 가운데 복구율은 아직 10%를 밑돌고 있습니다.

시스템 재가동은 국정자원 화재 영향이 적은 1~6전산실부터 진행 중이며, 화재가 난 5층 전산실은 분진 청소 후 재기동을 계획 중인데 이 작업엔 1~2주 정도 소요될 전망이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행안부는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운반에 투입됐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며, 배터리 이전 준비 중에 화재가 발생했고 작업자는 자격을 보유한 전문기술자이자 화재 부상자라고 설명했습니다.

[앵커]

김 기자, 중대본이 설명한 시스템 정상화 시점이 4주로 늘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김 차관은 화재에 직접 영향받은 96개 시스템은 앞서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역에 설치 예정이라며 정보자원 준비에 2주,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습니다.

총 4주가 걸리는 셈인데, 중대본은 대구센터 입주기업의 협조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전소된 96개 시스템에는 국민신문고와 국가법령정보센터, 안전디딤돌, 통합보훈 등 1등급 서비스 4개와 공무원 내부업무망인 온나라시스템 등이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정부는 완전 복구 때까지 민원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합동 민원센터와 지역 민원센터, 그리고 민원전담지원반을 운영한다고 밝혔습니다.

다만 각종 민원과 제안을 비롯해 2차 소비쿠폰 이의신청까지 맡던 국민신문고 중단에 따라 관련 민원을 위해 주민센터를 방문해야 하는 상황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행정안전부에서 연합뉴스TV 김태욱입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태욱(tw@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