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 :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됐던 정부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습니다.
모든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얼마나 걸릴지, 이번 사태의 원인은 무엇이고 재발을 막으려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춘 지 나흘째이자, 평일이 시작된 날이었습니다. 정부가 밤새워 복구작업에 나서면서 먹통 상태였던 공공 서비스 일부는 정상화됐지만, 주민센터나 은행권 등 현장 곳곳에서 불편을 피할 수가 없었던 것 같아요?
<질문 2> 이번 화재로 멈춘 정부 업무시스템은 모두 647개입니다. 오늘 오후 4시 기준으로 73개가 복구됐습니다. 정오에 발표(62개)된 것보다 11개 늘어난 건데요. 시스템 복구 속도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전체 647개 행정 시스템 중 96개는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부는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할 계획입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별도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중단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을 것 기대도 나오는데요?
<질문 3-1> 데이터 손실 가능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질문 4> 이번 사태로 국정자원은 서버의 재난 복구 환경은 갖춰져 있지만, 클라우드 재난 복구 환경은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는 관측이 나오는데, 쉽게 설명해 주신다면요?
<질문 5> 3년 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 먹통' 사태가 벌어졌을 때, 정부는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이 대전센터와 광주센터 간에도 실시간으로 상호 백업되고 있다”며 “재해 복구 시스템은 3시간 이내 복구가 가능하도록 구축돼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질문 6> 당시 정부가 카카오톡에 다중화 클라우드 서버 구축 등 강력한 대책을 요구했지만, 정작 국가 전산시스템 이중화와 백업 체계 구축이 늦어져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도 나오는데요, 이번 사태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만약 국가자원 공주센터가 제 역할을 했다면, 화재에도 불구하고 이번 국가 전산망 먹통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까요?
<질문 7-1> 정부가 2024년 문을 열 계획이었으나, 2023년 11월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가 발생하자 공주센터에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Disaster Recovery·DR)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계획을 수정했고, 이에 센터 개청을 연기됐었는데요,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가 뭔가요?
<질문 8> 이번 국정자원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배터리가 사용 기한을 넘겨 지난해 6월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배터리 노후가 원인일까요? 배터리를 장기 사용하면서 배터리 성능 저하가 발화 위험을 키웠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8-1>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6차례에 걸쳐 지하실로 옮기는 작업 도중 화재가 발생한 만큼 작업 과정상에서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모든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지는 4주가량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태와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가동이 중단됐던 정부 서비스가 순차적으로 복구되고 있습니다.
모든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데요.
얼마나 걸릴지, 이번 사태의 원인은 무엇이고 재발을 막으려면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전문가와 짚어보겠습니다.
염흥열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명예교수 자리했습니다.
<질문 1>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춘 지 나흘째이자, 평일이 시작된 날이었습니다. 정부가 밤새워 복구작업에 나서면서 먹통 상태였던 공공 서비스 일부는 정상화됐지만, 주민센터나 은행권 등 현장 곳곳에서 불편을 피할 수가 없었던 것 같아요?
<질문 2> 이번 화재로 멈춘 정부 업무시스템은 모두 647개입니다. 오늘 오후 4시 기준으로 73개가 복구됐습니다. 정오에 발표(62개)된 것보다 11개 늘어난 건데요. 시스템 복구 속도 어떻게 보세요?
<질문 3> 전체 647개 행정 시스템 중 96개는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았습니다. 정부는 대구 민관협력 클라우드로 이전해 복구할 계획입니다. 민관협력형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별도 인프라를 구축하지 않더라도 민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즉시 활용할 수 있어 중단된 시스템의 서비스를 신속히 복구할 수 있을 것 기대도 나오는데요?
<질문 3-1> 데이터 손실 가능성은 우려하지 않아도 되는 걸까요?
<질문 4> 이번 사태로 국정자원은 서버의 재난 복구 환경은 갖춰져 있지만, 클라우드 재난 복구 환경은 구축이 완료되지 않은 상황으로 보인다는 관측이 나오는데, 쉽게 설명해 주신다면요?
<질문 5> 3년 전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톡 먹통' 사태가 벌어졌을 때, 정부는 “국가 주요 정보시스템이 대전센터와 광주센터 간에도 실시간으로 상호 백업되고 있다”며 “재해 복구 시스템은 3시간 이내 복구가 가능하도록 구축돼 있다”고 밝힌 바 있는데요.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이유가 뭐라고 보세요?
<질문 6> 당시 정부가 카카오톡에 다중화 클라우드 서버 구축 등 강력한 대책을 요구했지만, 정작 국가 전산시스템 이중화와 백업 체계 구축이 늦어져 피해를 키웠다는 비판도 나오는데요, 이번 사태 어떻게 보세요?
<질문 7> 만약 국가자원 공주센터가 제 역할을 했다면, 화재에도 불구하고 이번 국가 전산망 먹통 사태는 막을 수 있었을까요?
<질문 7-1> 정부가 2024년 문을 열 계획이었으나, 2023년 11월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가 발생하자 공주센터에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Disaster Recovery·DR)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계획을 수정했고, 이에 센터 개청을 연기됐었는데요, ‘액티브-액티브 재난복구’가 뭔가요?
<질문 8> 이번 국정자원 화재는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발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배터리가 사용 기한을 넘겨 지난해 6월 교체 권고를 받았지만, 별다른 조치 없이 계속 사용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배터리 노후가 원인일까요? 배터리를 장기 사용하면서 배터리 성능 저하가 발화 위험을 키웠을 가능성도 있을까요?
<질문 8-1> 리튬이온 배터리 팩을 6차례에 걸쳐 지하실로 옮기는 작업 도중 화재가 발생한 만큼 작업 과정상에서 문제가 있었을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모든 시스템의 완전 복구까지는 4주가량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사태와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려면 어떤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세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심은진(tinian@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