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나라와 미국이 첫 비자 워킹그룹 회의를 열고, 비자제도 개선을 논의했습니다.

ESTA로도 B-1비자 소지자와 같은 활동을 할 수 있다는 점을 재확인하고, 주한미국대사관에 이달 중으로 전담 창구를 열기로 했는데요.

외교부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내용 들어봅니다.

김민아 기자

[리포트]

네, 현지시간 30일 미국 워싱턴DC 국무부 청사에서 한미외교당국이 한미 비자 워킹그룹 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습니다.

지난달 미 조지아주에서 한국인 317명이 이민당국에 의해 체포, 구금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자 재발 방지를 위해 열린 것입니다.

우리 측에선 수석대표로 정기홍 재외국민 보호 및 영사담당 정부대표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유관부처가 참여했고, 미국 측에선 케빈 킴 국무부 동아태국 고위관리를 수석대표로 국토안보부, 상무부, 노동부 등이 참석했습니다.

외교부는 회의에서 양국이 "우리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는데요.

대미 투자 과정에 필요한 해외 구매 장비의 설치, 점검, 보수 활동을 위해 단기상용 비자인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고, 전자여행허가제인 '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같은 활동이 가능하단 점도 재확인했습니다.

비자로 가능한 업무를 명시하는 등 이러한 요지의 자료도 조만간 대외적으로 공개됩니다.

특히, 이번 회의 결과물로 한미 양국은 '비자 문제' 전담 창구를 이달 중 주한미국대사관에 설치하기로 합의했습니다.

가칭 'Korean Investor Desk'로, 앞으로 대미 투자 기업들의 비자 문제 관련한 소통은 대사관 내 이 전담 데스크를 통해 이뤄질 예정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미국 측이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계획입니다.

외교부는 이번 회의에 '크리스토퍼 랜다우' 국무부 부장관도 참석했다고 밝혔습니다.

랜다우 부장관은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이행을 위한 인력들의 입국을 환영"하고, "우리 대미 투자기업들이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한미 양국은 우리 측 제안에 따라 미국 지역 우리 공관들과 미 이민법 집행기관 내 협력체계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주미공관-이민세관단속국-관세국경보호청 지부 간 '상호 접촉선'을 만들어 현장에서 혼선이 없도록 한단 취지입니다.

다만 우리 대표단은 추가적인 대미 투자를 위해 '근본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는데, 미측은 "현실적인 입법제약 고려 시 쉽지 않은 과제"라고 난색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국 측이 미 의회에 장기간 계류 중인 한국인 전문직 취업 비자인 E-4 신설 등을 강하게 요구한 것으로 읽히는 대목입니다.

한미는 다음 회의를 이른 시일 내 열어 미국 입국 관련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비자문제 개선을 위한 협의를 이어나가기로 했습니다.

다만, 우리 외교부의 발표와 달리 미 국무부의 발표는 다소 간결했는데요.

"미국은 미국의 재산업화를 이끌고 한미동맹을 강화하며 공동 번영을 증진하는 투자를 강력히 지지한다"며 대미 투자 촉진 측면을 부각했고,

"미국 법률에 따라 자격을 갖춘 한국 방문자가 계속 투자할 수 있도록 비자를 처리한다"고만 명시했습니다.

지금까지 외교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