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9월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력 상품들이 약진한 결과인데요.
수출기업들은 시장 다변화를 꾀하며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장한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9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659억 달러.
1년 전보다 12.7% 늘며 3년 6개월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추석이 있었던 지난해 9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일평균 수출액만 놓고 보더라도 역대 9월 중 2위를 기록할 만큼 견조한 흐름입니다.
특히 대표적인 '수출 효자' 반도체의 경우 두 달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반도체와 같이 기술력이 뒷받침되는 주력 품목들이 최근의 글로벌 시황을 잘 활용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정성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AI(인공지능) 서버용 고부가가치 메모리반도체가 아주 견조한 수요를 타고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수출의 경우 친환경차, 내연기관차, 중고차 판매 호조와 함께 역대 9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선박 수출 역시 22% 가까이 늘며 7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일반기계, 섬유, 가전 제품도 올해 처음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나 미국발 관세 여파는 여전합니다.
고율 관세 영향이 있는 철강, 이차전지, 무선통신기기 등은 수출이 줄었습니다.
9월 대미 수출도 관세 예외 품목들의 방어로 감소폭이 1.4%에 그쳤으나, 주요 9대 수출 지역 중 유일한 '마이너스'입니다.
<박정성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이번 달에 (수출이) 굉장히 좋긴 했지만 아직 관세 영향이 불확실성으로 남아있고 경기 흐름도 봐야하기 때문에 연말까지 어떤 흐름을 이어갈 건지는 예측하기 힘든…"
주목할 부분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시장 다변화' 전략입니다.
미국 시장 대신 다른 주요 지역을 공략하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로 동남아, 인도, 독립국가연합 지역으로의 수출은 역대 9월 중 최대치, 대유럽 수출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장한별입니다.
[영상취재 이덕훈]
[영상편집 김휘수]
[그래픽 김동준 우채영]
#관세 #수출 #자동차 #반도체 #수입 #대미수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미 관세 여파에도 불구하고 9월 수출액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반도체, 자동차, 선박 등 주력 상품들이 약진한 결과인데요.
수출기업들은 시장 다변화를 꾀하며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장한별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9월 우리나라의 수출액은 659억 달러.
1년 전보다 12.7% 늘며 3년 6개월 만에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추석이 있었던 지난해 9월보다 조업일수가 늘어난 영향을 배제할 수 없지만, 일평균 수출액만 놓고 보더라도 역대 9월 중 2위를 기록할 만큼 견조한 흐름입니다.
특히 대표적인 '수출 효자' 반도체의 경우 두 달 연속 사상 최대 실적을 냈습니다.
반도체와 같이 기술력이 뒷받침되는 주력 품목들이 최근의 글로벌 시황을 잘 활용했다는 평가가 나옵니다.
<박정성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AI(인공지능) 서버용 고부가가치 메모리반도체가 아주 견조한 수요를 타고 높은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수출의 경우 친환경차, 내연기관차, 중고차 판매 호조와 함께 역대 9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고, 선박 수출 역시 22% 가까이 늘며 7개월째 증가세를 이어갔습니다.
일반기계, 섬유, 가전 제품도 올해 처음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그러나 미국발 관세 여파는 여전합니다.
고율 관세 영향이 있는 철강, 이차전지, 무선통신기기 등은 수출이 줄었습니다.
9월 대미 수출도 관세 예외 품목들의 방어로 감소폭이 1.4%에 그쳤으나, 주요 9대 수출 지역 중 유일한 '마이너스'입니다.
<박정성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이번 달에 (수출이) 굉장히 좋긴 했지만 아직 관세 영향이 불확실성으로 남아있고 경기 흐름도 봐야하기 때문에 연말까지 어떤 흐름을 이어갈 건지는 예측하기 힘든…"
주목할 부분은, 이러한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한 기업들의 '시장 다변화' 전략입니다.
미국 시장 대신 다른 주요 지역을 공략하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로 동남아, 인도, 독립국가연합 지역으로의 수출은 역대 9월 중 최대치, 대유럽 수출은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정부는 수출 기업들의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입니다.
연합뉴스TV 장한별입니다.
[영상취재 이덕훈]
[영상편집 김휘수]
[그래픽 김동준 우채영]
#관세 #수출 #자동차 #반도체 #수입 #대미수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한별(good_star@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