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하지만, 미국 의회가 예산안 합의에 실패하면서 연방정부의 업무가 중단되는 셧다운이 시작됐습니다.

정치권은 서로에게 책임을 돌리며 대치했는데요.

관세나 국경 정책 같은 트럼프 대통령이 우선시하는 정책에는 차질이 빚어지지 않았습니다.

워싱턴 정호윤 특파원입니다.

[기자]

셧다운 돌입 첫날, 미국 의회의사당 입구에 방문객을 받지 않는다는 안내판이 설치됐습니다.

워싱턴의 주요 공공기관마다 공무원이 출근하지 않으면서 상당수 공공 서비스가 중단되거나 지연됐습니다.

백악관과 민주당은 책임을 전가하며 여론전을 본격화했습니다.

예산안 처리가 불발된 쟁점인 건강보험 문제를 두고 간극만 확인했습니다.

<존 튠 / 미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 "민주당은 자신들에게 정치적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국민들을 인질로 삼았습니다."

<척 슈머 / 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공화당이 우리와 협력해 헬스케어 위기를 해결한다면 셧다운은 빠르게 끝날 수 있고 그것은 민주당이 원하는 겁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셧다운 사태가 발생하면 공무원 대량 해고에 나서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백악관은 추이를 조금 더 지켜볼 뜻을 밝혔습니다.

<JD 밴스 / 미국 부통령> "일부 공무원을 해고할 수 있습니다. 셧다운이 계속된다면 원치 않지만 국민들에게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특단의 조치를 할 겁니다."

민주당은 트럼프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며 화살을 돌렸습니다.

<피트 아길라 / 미 하원 민주당 코커스 의장> "(공화당 의원들은) 무언가 동의한다 해도 트럼프에게 가서 승인받아야 한다는 것을 보여줬습니다. 이 시점에 대통령이 참여하지 않으면 해결책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관세와 국경 순찰, 이민자 단속 같은 주요 국정 과제는 셧다운과 무관하게 업무를 추진할 거라고 밝혔습니다.

재생에너지 사업처럼 민주당이 선호하는 정부 업무는 중단했습니다.

셧다운 중단을 위해 여야는 각각 임시예산안을 만들어 다시 표결에 부쳤는데, 서로 반대표만 던지다 결국 무산됐습니다.

셧다운 사태는 첫날부터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

[영상취재 이현경]

[영상편집 송아해]

#트럼프 #셧다운 #업무정지 #공화_민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호윤(ikaru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