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 셧다운이 국제 금 시세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돌파했는데요.
국제부 연결합니다.
장효인 기자.
[기자]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돌입 첫날, 국제 금 시세가 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현지시간 1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장 대비 0.6% 오른 온스당 3,897.5달러였습니다.
금 현물 가격도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
셧다운이 길어지면 미국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증가한 겁니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4거래일 연속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9% 오른 46,441.10에, S&P500지수는 0.34% 오른 6,711.20에 거래를 마치며 최고치를 새로 썼습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0.42% 상승한 22,755.16에 마감했습니다.
셧다운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론이 우위였습니다.
[앵커]
장효인 기자, 이어서 의약품 관세 소식 알아볼 텐데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늘부터 수입 의약품에 100%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가 돌연 연기했다고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일주일 전 모든 브랜드 의약품,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매긴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짓고 있지 않은 기업이 대상입니다.
오늘 이런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해 관세 부과를 공식화할 예정이었는데요.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는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제약사들과 협상할 시간을 더 벌기 위해 관세 조치를 연기한다고 전했습니다.
화이자는 현지시간 30일 미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7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이 사례를 본보기로 삼겠다는 겁니다.
앞서 화이자는 가장 인기 있는 약을 절반 이상 할인하는 데 더해, 앞으로 미국 시장에 내놓는 모든 신약을 최혜국대우 가격에 팔기로 했습니다.
다만 유럽연합(EU)이나 일본처럼 이미 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한 국가는 이 같은 '경고' 대상이 아닙니다.
이들은 최대 15% 관세를 적용받는데, 한국은 아직 무역 협상을 타결하지 않아 당분간 100% 관세를 피할 수 없습니다.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한국산 의약품은 총 40억 달러 규모로, 한국의 전체 대미 상품 수출액의 약 3%에 해당합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중동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대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측 반응이 전해졌다고요?
[기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2시간 내 인질 석방과 이스라엘의 단계적 철군, 하마스 무장 해제 등을 담은 평화 구상을 발표했습니다.
AFP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마스가 이 중 '무장해제 조항'을 수정하기를 원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 완전 철수에 대한 국제적 보증과 가자지구 안팎에서의 암살 금지 보장도 요구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현재 하마스 내부가 휴전을 무조건 수용하자는 쪽과, '조건부 합의'를 지지하는 쪽으로 나뉘어 있다고 했습니다.
하마스는 이틀에서 사흘 뒤에 최종 답변을 내놓을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의 우방인 카타르가 공격당하면 미국이 방어하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초 카타르에 체류 중인 하마스 지도부를 제거하겠다는 이유로 수도 도하의 한 건물을 공습했습니다.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이예림]
#셧다운 #금값 #뉴욕증시 #의약품관세 #가자전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미국 연방정부의 일시적 업무 정지, 셧다운이 국제 금 시세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다시 돌파했는데요.
국제부 연결합니다.
장효인 기자.
[기자]
미국 연방정부의 셧다운 돌입 첫날, 국제 금 시세가 또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현지시간 1일 뉴욕상업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 선물 종가는 전장 대비 0.6% 오른 온스당 3,897.5달러였습니다.
금 현물 가격도 장중 온스당 3,895.09달러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치를 돌파했습니다.
셧다운이 길어지면 미국 경제에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우려에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증가한 겁니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4거래일 연속 강세로 마감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09% 오른 46,441.10에, S&P500지수는 0.34% 오른 6,711.20에 거래를 마치며 최고치를 새로 썼습니다.
나스닥종합지수는 0.42% 상승한 22,755.16에 마감했습니다.
셧다운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론이 우위였습니다.
[앵커]
장효인 기자, 이어서 의약품 관세 소식 알아볼 텐데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늘부터 수입 의약품에 100%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가 돌연 연기했다고요?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일주일 전 모든 브랜드 의약품, 특허 의약품에 100% 관세를 매긴다고 밝혔습니다.
미국에 의약품 제조 공장을 짓고 있지 않은 기업이 대상입니다.
오늘 이런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해 관세 부과를 공식화할 예정이었는데요.
정치 전문 매체인 폴리티코는 백악관 관계자를 인용해, 제약사들과 협상할 시간을 더 벌기 위해 관세 조치를 연기한다고 전했습니다.
화이자는 현지시간 30일 미국에서 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해 700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했는데, 이 사례를 본보기로 삼겠다는 겁니다.
앞서 화이자는 가장 인기 있는 약을 절반 이상 할인하는 데 더해, 앞으로 미국 시장에 내놓는 모든 신약을 최혜국대우 가격에 팔기로 했습니다.
다만 유럽연합(EU)이나 일본처럼 이미 미국과 무역 협상을 타결한 국가는 이 같은 '경고' 대상이 아닙니다.
이들은 최대 15% 관세를 적용받는데, 한국은 아직 무역 협상을 타결하지 않아 당분간 100% 관세를 피할 수 없습니다.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한국산 의약품은 총 40억 달러 규모로, 한국의 전체 대미 상품 수출액의 약 3%에 해당합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중동 소식 알아보겠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평화 구상'에 대한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측 반응이 전해졌다고요?
[기자]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72시간 내 인질 석방과 이스라엘의 단계적 철군, 하마스 무장 해제 등을 담은 평화 구상을 발표했습니다.
AFP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하마스가 이 중 '무장해제 조항'을 수정하기를 원한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 완전 철수에 대한 국제적 보증과 가자지구 안팎에서의 암살 금지 보장도 요구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습니다.
또 다른 소식통은 현재 하마스 내부가 휴전을 무조건 수용하자는 쪽과, '조건부 합의'를 지지하는 쪽으로 나뉘어 있다고 했습니다.
하마스는 이틀에서 사흘 뒤에 최종 답변을 내놓을 전망입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중동의 우방인 카타르가 공격당하면 미국이 방어하겠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초 카타르에 체류 중인 하마스 지도부를 제거하겠다는 이유로 수도 도하의 한 건물을 공습했습니다.
국제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영상편집 이예림]
#셧다운 #금값 #뉴욕증시 #의약품관세 #가자전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장효인(hija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