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마비된 지 일주일째입니다.

서비스 복구 속도는 예상보다 더딘 상황인데요.

자세한 소식 취재기자 연결해 살펴보겠습니다.

임광빈 기자.

(네, 사회부입니다.)

현재까지 복구 상황은 어떤가요?

[기자]

네, 오늘 오전 10시 기준 복구율은 17.3%입니다.

화재 피해로 장애를 입은 시스템 647개 중 112개 시스템이 재가동 중인데요.

소방청의 ‘119안전신고’ 서비스가 복구됐고, 국가의 각종 기록물 정보를 제공하는 ‘국가기록포털’도 재가동을 시작했습니다.

윤호중 중대본부장은 복구 속도가 국민들의 눈높이에 미치지 못한 점을 엄중히 인식하고 있다면서 복구작업에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와 국민안전서비스 현장을 오늘 오후 직접 방문해 점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정부가 복구 속도를 높이기 위해 전문인력을 현장에 추가 파견했다고요?

[기자]

네, 하정우 AI미래기획 수석이 어제(1일) 국정자원 현장 상황실을 찾아 김민재 중대본 1차장과 행정정보시스템 장애복구 방안을 논의했는데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과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전문기관 연구원들을 복구 현장에 지원하기로 하고, 인력 4명은 즉시 파견을 했습니다.

또 5층 전산실 분진 제거를 위해 전국 서버 전문 청소업체를 최대로 투입하고, 당초 2주보다 절반을 단축한 오는 5일까지 완료할 예정입니다.

통상 1개월 정도 걸리는 전원연결도 10일 안으로 단축해 오는 11일까지 완료한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한편, 전소된 7-1 전산실 내 96개 시스템을 대구 센터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구역으로 이전한 뒤, 전국의 전문가를 섭외하고 예비비를 투입하는 등 데이터 백업과 이관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습니다.

[앵커]

화재사고가 난 국가정보자원 관리원이 과거 소방당국의 화재안전조사를 제대로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요?

[기자]

어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 질의가 있었는데요.

이 자리에서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과거 전산실 근처에서 소방점검을 하는 과정에서 경보알람이 울려 자칫 전산실 내 화재로 오인될 경우 소화 가스가 터지는 등의 우려를 검토한 것으로 확인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화재조사에서 제외가 됐는데, 보안을 이유로 전산실 공간이 안전점검에서 제외된 것은 적절하지 않은 조치였다고 생각한다며 잘못을 인정했습니다.

리튬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률이 80% 정도 됐다고도 밝혀 충전율이 30% 이하 가이드라인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점도 인정했습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디지털 정부 1위'라는 타이틀에 도취해 노후 설비를 제대로 바꾸려는 노력을 못 한 것이 이번 사태의 핵심 원인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재난복구 시스템 부재 등 미비한 이중화 조치를 조속히 개선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을 확보하고, 모자라다면 예비비라도 투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지금까지 사회부에서 전해드렸습니다.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국정자원 #복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임광빈(june8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